11월 8일, 캐나다 오타와 상원 회의장에서 한국전 참전용사 앙드레 페텔르(André Petelle) 옹에게 킹 찰스 3세 대관식 메달(Coronation Medal)이 수여되었다. 이 헌정식은 단순한 참전용사 예우를 넘어, 한국전의 의미와 그 희생이 남긴 국제적 유산을 다시 확인하는 중요한 계기로 기록된다.
1952년 캐나다 군에 입대한 페텔르 옹은 1954년 유엔군으로 한국전에 참전해 정전체제 유지에 기여했다. 한국전에는 총 2만6791명의 캐나다군이 참전하고 516명이 희생되었으며, 그중 378명은 부산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돼 있다. 이번 수훈은 70여 년 전의 헌신이 지금도 한·캐 양국 관계와 재외동포 사회의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는 역사적 사실을 공식적으로 확인한 자리다.
직접 수여한 연아 마틴 캐나다 상원의원은 한국전 생존자 부모를 둔 의원으로서 남다른 감정을 넘어선 엄중한 책임감을 드러냈다. 마틴 의원은 공식 논평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페텔르 옹의 영웅적 헌신은 대한민국이 오늘날 번영하는 민주주의 국가로 자리 잡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캐나다 한인 디아스포라 공동체 역시 참전용사들의 희생 덕분에 존재합니다. 저는 한국전 생존자 부모님의 딸로서, 제 생명 자체가 그분들께 빚져 있습니다(I owe my very life).”
이 발언은 참전용사 희생의 의미를 단순한 감사의 표현이 아니라, 오늘날 710만 디아스포라가 존재하게 된 근원적 토대로 재정의하며 공동체 전체에 깊은 책임 의식을 환기시켰다.
강영자 재외기자
dongponews@hanmail.net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