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불법이민자 단속 강화 정책이 미국 사회 전반에 걸쳐 충격파를 일으키고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지난 9개월 동안 최소 170명의 미국 시민권자들이 이민 당국에 의해 강제 구금되는 사례가 발생했고, 맨하탄 차이나타운에서는 시민권자 4명이 연행됐다가 풀려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이 같은 불법 단속 사례들은 미국인들이 자신의 시민권이 언제든 위협받을 수 있다는 불안에 떨게 만들고 있다. 특히 히스패닉계 시민권자들이 대다수 구금 대상이 된 점은 인종별 차별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한인 시민권자들도 예외는 아니며, 최근 한인 미국 시민권자가 ICE(미국이민세관집행국)에 의해 체포된 사례가 언론에 보도돼 이민당국의 강제 체포가 인종과 상관없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민 단속 과정에서 연행된 한인 시민권자는 법적 도움 요청조차 어려운 가운데 밤샘 구금과 강압적 심문을 겪었다는 증언이다. 이처럼 시민권자임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 중 신원이 오인되거나, 단속 대상자로 착각되어 체포 당하는 사례는 점점 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불안감은 한인 커뮤니티 내에서도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인종차별적 프로파일링을 하지 않는다’고 반박하지만, 현실은 이와는 정반대라는 것이 시민 및 인권단체들의 지적이다. 시민권자가 언제든 정치적 목적으로 표적이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번 사태는 불법이민자 단속이 미국 시민들까지 대상으로 삼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민주당과 민권단체들은 맨하탄 연방청사 앞에서 ICE 규탄 시위를 벌였으며, 수만 명의 시민들이 ‘ICE는 뉴욕시를 떠나라’라는 구호를 외치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민법 집행이 강화될수록, 시민권자의 보호는 더욱 약화될 것”이라며 우려를 표한다.
이런 가운데, 이번 단속과 관련된 지도자와 시민들이 더 큰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특히 한인 커뮤니티 내에서도 ‘내 신분이 언제 무너질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퍼지고 있다. 한인 시민권자가 지난달 ICE에 의해 연행된 사례는 그러한 불안의 구체적인 예다. "밤샘 구금 후, 강제 심문과 폭력적 진압을 겪으며, 심리적 충격에 빠졌다"는 해당 한인시민권자의 증언이 미국이 인종차별적 정책을 대놓고 드러내고 있는 모습을 보이는 모양새로 비춰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2026년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을 지적하며, 시민권의 의미와 안전성 확보를 위한 법적 장치가 더욱 절실하다고 강조한다. 미국이 다시 한 번 시민권의 가치를 지킬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