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30일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상용방문 및 비자 워킹그룹’ 회의 모습. [외교부]  
지난 9월30일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상용방문 및 비자 워킹그룹’ 회의 모습. [외교부]  

주한미국대사관 내에 미국 비자 관련 안내 및 상담창구인 대미 투자기업 전담 데스크(가칭 ‘Korean Investor Desk’)가 10월중에 설치된다.

한미 양국 정부대표단은 지난 9월30일 워싱턴 D.C.에서 미국 비자제도 개선 등 우리 대미 투자 기업인의 미국 입국 원활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한-미 상용방문 및 비자 워킹그룹’을 공식 출범시키고 1차 협의를 진행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우리측에선 외교부 정기홍 재외국민 보호 및 영사담당 정부대표를 수석대표로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참여하며, 미국측에선 국무부 케빈 킴(Kevin Kim) 동아태국 고위관리를 수석대표로 국토안보부, 상무부, 노동부가 참여한다.

한미 양국은 미국의 경제·제조업 부흥에 기여하는 우리 기업들의 안정적인 대미 투자를 위해서는 원활한 인적교류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조치가 필수적이라는 데 인식을 공유했다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이날 회의 모두에는 크리스토퍼 랜다우(Christopher Landau) 국무부 부장관이 참석해,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이행을 위한 인력들의 입국을 환영하며, 향후 우리 대미 투자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주한미국대사관 내 전담 데스크 설치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한미 양국은 우리 기업의 활동 수요에 따라 B-1(단기상용) 비자로 가능한 활동을 명확히 했다. 미국측은 우리 기업들이 대미 투자 과정에서 수반되는 해외 구매 장비의 설치(install), 점검(service), 보수(repair) 활동을 위해 B-1 비자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ESTA로도 B-1 비자 소지자와 동일한 활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재확인했다. 아울러 이러한 요지의 자료(팩트시트)를 조만간 관련 대외 창구를 통해 공지하기로 했다.

또한, 한미 양국은 우리 대미 투자기업들의 비자 문제 관련 전담 소통창구로서 주한미국대사관 내 전담 데스크(가칭 ‘Korean Investor Desk’)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미국 비자 관련 안내 및 상담창구로서 역할을 할 대미 투자기업 전담 데스크는 10월 중 가동할 예정이다. 상세 내용은 미국측이 주한미대사관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지하기로 했다.

이와 더불어, 미국 지역 우리 공관들과 美 이민법 집행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자는 우리측 제안에 따라, 한미 양국은 우리 공관과 이민세관단속국(ICE)‧관세국경보호청(CBP) 지부 간 상호 접촉선을 구축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우리측은 우리 기업들의 대미 투자의 성공적 완수 및 추가적인 대미 투자를 위해서는 이번에 발표한 개선조치를 넘어 근본적인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미국측은 현실적인 입법 제약을 고려할때 쉽지 않은 과제라면서 향후 가능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해 나가겠다고 답변했다.

한미 양국은 차기 회의를 조속한 시일 내 개최해 우리 대미 투자기업 인력의 미국 입국 관련 애로 해소 및 비자문제 개선을 위한 협의를 지속 추진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재외동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