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의 부국 UAE와 카타르가 각각 ‘AI 전략 2031’, ‘국가 디지털 아젠다 2030’을 발표하며 AI 도입 확대를 추진 중인 가운데, KOTRA(사장 강경성)가 지난 9일 두바이 미래재단과 AI·디지털 협력 MOU를 체결한데 이어 17일에는 카타르에서 AI 협력포럼을 개최, 중동 국가의 AI 정책과 연계한 우리기업의 중동 진출 지원에 나섰다.
KOTRA는 카타르 통신정보기술부와 공동으로 ‘한-카타르 AI 협력포럼’을 개최, 양국 AI 개발 정책 수요를 공유하고 우리 AI 솔루션을 소개했다. 국내 생성형 AI 플랫폼을 활용한 전문가 대담이 진행됐고, 기술 소개 세션을 국내 기업이 개발한 AI 아나운서가 맡아 눈길을 끌었다.
카타르 측에서는 국가 AI 위원회, 통신정보기술부, 알자지라 방송국, 카타르항공 등이 참석했고, 한국에서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및 AI 관련 7개 사가 참여해 카타르 기관 및 기업과 현장 상담을 벌였다. 특히,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지난 12일 KOTRA와 체결한 업무협약(MOU) 이후 첫 협업 사례로, 한-카타르 양국의 AI 거버넌스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LNG와 원유 수출 부국인 카타르는 AI 등 신성장 산업 육성을 목표로 ‘국가 디지털 아젠다 2030’을 추진 중이고 지난 9월 3일에는 국가 AI 전략 총괄 실행조직인 ‘국가 인공지능 센터(National AI Center)’ 설립을 발표했다. 또한 웹 서밋(Web Summit),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월드 서밋 AI(World Summit AI) 등 세계적 기술 컨퍼런스를 잇달아 유치하며 중동 AI 선도국 지위를 지향하고 있다. 이런 정책적 노력으로 카타르 AI 시장은 2024년 4.3억 달러에서 2030년 19.4억 달러로 성장, 연평균 28%의 고성장이 예상된다.
김명희 KOTRA 부사장 겸 혁신성장본부장은 “이번 포럼에서 우리 AI 기술을 카타르에 소개하고 현지 정책과 맞닿은 높은 기술 수요를 확인했다”며, “우리 AI 생태계 글로벌화 지원을 통해 AI 3대 강국 목표 달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K-프랜차이즈, 아시아 공략 박차...K-푸드와 시너지
- ‘세계이슈톡톡’...실시간 통상정보를 카톡에서 한눈에
- 중동 시장, 격변기를 기회로...대형·첨단 프로젝트 수출 확대
- 라오스는 K-푸드 매운맛 열풍...소비문화로 정착
- 한-일 첨단산업 협력, 이차전지로 이어간다
- 부산에서는 정상회담, 도쿄에서는 '한·일 무역진흥기관' 회의
- ‘하지원’, ‘태민’, ‘화사’...'뉴욕 한류박람회' 홍보대사 위촉
- 실리콘밸리 AI·반도체 인재, 한국으로 옮겨라
- 세계가 주목하는 K-방산, 수출산업의 핵심으로...
- 관세전쟁에도 K-수출 호조...APEC 타고 붐업
- 베트남은 지금 K-컬쳐 이은 K-소비재 열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