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최빈국에서 원조 공여국으로 탈바꿈한 발전 경험을 살려 전통적인 선진 공여국과 신흥 공여국을 연결하며 개발도상국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코이카(KOICA, 한국국제협력단)는 카자흐스탄 국제개발단(KazAID)과 공동으로 중앙아시아 5개국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 강화 연수를 오는 8월 25일부터 3일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허브(Astana Hub)에서 실시한다.
이번 연수는 한국이 신흥 공여국인 카자흐스탄과 파트너십을 구축해 제3국의 발전에 기여하는 삼각협력 방식으로 추진한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 즉 선진국-개발도상국 양자 간 일방적 지원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주축국인 한국과 함께 한국에게 앞서 디지털 전환 지원을 받았던 카자흐스탄이 촉진국으로 파트너쉽을 형성, 유사한 역사적 배경 및 개발경험과 도전과제를 가진 나머지 개발도상국들을 대상으로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포용적인 개발협력을 추진하는 방식이다.
이번 연수에는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중앙아시아 5개국 공무원 20명이 참여해 국가 거버넌스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과 중앙아시아 지역 간 파트너십 확대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코이카는 한국의 공공행정 시스템과 전자정부 혁신 경험을 소개하고, 디지털 전환 정책, 행정 효율성 제고 방안, 전자정부 서비스 혁신 등을 주제로 강의와 토론을 진행한다. 카자흐스탄 국제개발단은 카자흐스탄의 전자정부와 오픈 데이터, 원스톱 통합서비스를 소개하고 중앙아시아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토론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코이카는 2013년 카자흐스탄 국제개발단 창설 준비단을 대상으로 특별연수를 진행하며 첫 인연을 맺었으며, 2020년 카자흐스탄 국제개발단의 공식 설립 이후 양 기관은 두 차례 MOU를 체결하며 국제개발 협력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지난 4월에는 카자흐스탄 국제개발단 직원 1명이 코이카 본부에 최초로 파견돼 코이카의 중앙아시아 전략, 한국의 ODA 전략, 사업 발굴 및 이행 과정 등을 전수 받았다.
김명진 코이카 대외협력팀장은 “이번 삼각협력 연수는 양 기관이 이어온 협력을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로 발전시킨 첫 사례”라며 “코이카는 9월 21일부터 2주간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신흥공여국 11개국의 역량 강화와 성장지원을 위한 특별연수도 계획 중이며, 신흥 공여국의 도약에 있어 한국이 리더십을 발휘하며 글로벌 개발협력 분야에서 영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교통안전’도 수출한다...방글라데시에 ‘첨단 교통관리’ 기술 전파
- 코이카 국민참여 서포터스 위코 7기 출범
- 김건희 특검, 코이카·삼일회계 압수수색…캄보디아 ODA 청탁 의혹 정조준
- 코이카, ESG 중심의 ‘5기 시민참여혁신단’ 본격 활동
- 한류의 원조 태권도, 세계를 투어하다
- 지뢰밭을 희망의 땅으로...코이카, DR콩고 지뢰제거 사업 완료
- KOICA, ODA 주도국 도약 노린다
- 코이카, 개도국 발전도 돕고 우리기업 수출도 지원!
- 조현 장관, 급변하는 정세 속 ODA 어떻게 진행돼야 하나
- 봉사에서 커리어로, 코이카와 함께 여는 글로벌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