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전경. 
KOTRA 전경. 

8월로 예고한 미국의 25%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로 다가왔으나, 우리나라 기업, 특히 중소기업들의 이에 대한 대비는 여전히 부족하다. 정부 차원에서는 관세 전쟁에 대비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상담 및 정보제공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으나 여전히 부족한 상태다.

이와 관련, KOTRA(사장 강경성)는 지난 7월16일 서울 염곡동 본사에서 관세청(청장 이명구), 한국원산지정보원(원장 김일권)과 함께, 오는 8월 1일부터 예정된 ‘25% 상호 관세’에 대비한 ‘미국 통상정책 대응 관세실무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 현장에는 중소·중견기업 265개사가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관세청과 한국원산지정보원의 관세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 ▲미국의 최신 관세정책 동향 ▲원산지 판정 기준 및 사례 ▲미국 관세청의 품목분류 사전심사 활용법 등 실무 중심의 정보를 전달해 우리 수출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했다.

또한, 사전 신청한 102개사를 대상으로는 15명의 관세 전문가가 1대1 맞춤형 컨설팅을 실시해 ▲기업별 품목에 대한 관세율 검토 ▲원산지 판정 기준 안내 ▲대체시장 진출 전략 등 수출 과정에서의 다양한 애로 해소를 지원했다.

이에 앞서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는 지난 2월부터 미국 통상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범정부 통합 상담창구 ‘관세대응 119’(☎1600-7119)를 운영해 왔으며, 7월 15일까지 5,618건의 상담을 진행해 오고 있다.

또 2월부터 4월까지 총 12회에 걸쳐 지역별·업종별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관세 설명회’를 열었고, 상반기 총 47회의 대면 설명회를 통해 5,688명에게 미국 관세 대응 정보를 신속 전파한 바 있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그동안 유예됐던 미국의 국가별 상호 관세 조치가 다시 추진되는 상황에서, 우리 수출기업들의 대응 전략 수립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며, “KOTRA는 관세청, 한국원산지정보원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제공은 물론, 앞으로도 경제안보 파수꾼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외동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