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뉴사우스웨일스(NSW) 바이롱 지역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이 한국전력공사(KEPCO)의 탐사권 연장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KEPCO는 2027년 초 만료되는 탐사권을 연장했지만, 실제 탄광 개발은 불가능한 상태다. 이로 인해 지역사회는 KEPCO의 의도를 이해하기 어렵다며 비판하고 있다.
12일 현지 한인 언론매체인 'Daily Top News'에 따르면, 호주 공영방송인 ABC를 비롯해 여러 지역 매체들은 KEPCO의 바이롱 탄광 프로젝트가 최소 9억 달러의 국고 손실을 초래했다고 보도했다. KEPCO는 2010년 앵글로 아메리칸 사로부터 약 4억 3000만 달러를 들여 바이롱 광산 일대의 대지를 인수했지만, 환경단체와 지역민들의 반발로 인해 개발이 중단됐다. KEPCO는 법적 수단을 동원해 개발 불허 결정을 뒤집으려 했으나, 호주 대법원까지 상고가 기각되면서 더 이상의 개발은 불가능해졌다.
지역 주민들은 KEPCO의 탄광 개발 포기를 촉구하며 바이롱 밸리 보호 동맹(BVPA)을 결성했다. 이들은 "바이롱 지역의 농지가 탄광 개발의 위험에 노출될 수 없다"며 KEPCO에 대지 매각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주민들은 한국 정부가 KEPCO에 압력을 가해 바이롱 밸리가 광산 개발에서 영구히 배제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달라고 호소했다.
KEPCO는 4번의 소송에서 모두 패소했으며, 더 이상의 탄광 개발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지역 주민들의 주장이다. 그러나 KEPCO는 탐사 면허 연장을 통해 프로젝트를 지속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 주민들은 KEPCO의 확실한 탄광 개발 포기 선언을 기다리고 있다.
결국, KEPCO의 바이롱 탄광 프로젝트는 환경과 지역사회의 반발로 인해 좌초된 상태다. KEPCO는 막대한 국고 손실을 초래했음에도 불구하고 탐사권을 연장하며 프로젝트를 지속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지역 주민들과 환경단체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KEPCO가 이 상황을 어떻게 해결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