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을 맞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잠들어 있는 독립운동가 우운 문양목 지사 유해의 봉환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오는 4월 12일 묘소를 참배하는 행사가 열린다.

대한민국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샌프란시스코 & 베이 지역 한인회, 우운 문양목 애국지사 유해봉환 법적 대리인 변호사 최홍일, 북가주지역 한인회 및 지역한인단체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문양목 애국지사 참배 행사는 오는 4월 12일(토) 맨테가 파크뷰 공원 묘지에서 오전 11시부터 진행된다.

우운 문양목 선생.
우운 문양목 선생.

우운 문양목 선생은 1905년 을사늑약 체결 후 미국으로 건너와 항일민족운동을 펼쳤다. 1907년에는 샌프란시스코에서 대동보국회 창립에 참여해, 회장을 맡아 활동했다. 대동보국회의 기관지인 대동공보의 주필을 맡아 한인들을 하나로 모으고 조국의 독립을 위한 활동에 앞장섰다.

특히, 고종 황제의 외부 고문이었던 친일파 더럼 스티븐슨이 1908년 샌프란시스코에서 '크로니클' 등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이 일본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자, 직접 스티븐스를 찾아가 항의하기도 했다.

이후 더럼 스티븐스의 저격에 나선 장인환·전명운 의사의 의거 이후 체포된 두 의사를 위해 변호비용을 모금하고 두 의사의 의거 정당성을 널리 알리는 등 구명운동을 벌였다. 

이외에도 대동보국회가 대한인국민회로 통합된 후, 대한인국민회 총회장으로 당선돼 일제 강점기 조국의 독립에 앞장서셨으며 군인 양성운동도 적극 펼쳤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조국의 독립을 보지 못하시고 1940년 12월 25일 71세로 별세해 맨테카의 묘지에 안장됐다.

대한민국 정부는 문양묵 지사의 활동을 높이 인정해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으며, 광복 80주년을 맞는 올해 유해봉환을 추진하게 됐다.

북가주 한인단체 관계자는 "문양목 선생님의 유해 봉환을 앞두고 오는 4월 12일 묘소를 참배하고 민족을 위해 헌신하신 선생님의 활동에 감사와 함께 작별의 인사를 드리려고 한다"며 "바쁘시겠지만 많이 참석해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재외동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