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4차 산업혁명, 어떻게 대비하나?
상태바
[기고] 4차 산업혁명, 어떻게 대비하나?
  • 이동호 명예기자
  • 승인 2016.09.21 1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동호 명예기자

국내 총생산이 477억 원에 불과했던 1953년에 비해 지난해 3만2000배 이상 증가한 1558조 원이 됐고, 1인당 국민총소득 역시 1만5000배 이상 늘었다. 수출 주력 품목도 단순 가공 품목에서 첨단 산업으로 환골탈태했다. 1960년대에는 철광석, 1970년대에는 섬유 류가 주력이었다면 1990년대 이후 이제는 반도체, 자동차 등 첨단 제조 품목이 우리 대표 상품이 되었다. 

4차 산업혁명은 생산성과 노동방식

경제 분야 외에 민주화와 같이 정치·사회 분야에서도 큰 변화가 있었다. 그런데 지금 우리에게 또다시 거대한 변화의 파도가 밀려오고 있다. 사회시스템, 행동방식 등 모든 것을 바꿀 태세로 말이다. 바로 제4차 산업혁명의 파고다. 인터넷과 컴퓨터 기반의 3차 산업혁명에 이어 ‘생산성’과 ‘노동방식’에 있어 일대 혁명이 목전에 다가온 것이다. 혁명에 대비하는 우리에겐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

동서고금의 역사에서 봤듯이 변화의 시기엔 승자와 패자가 나타난다. 그러면서 이해 상충이나 갈등이 깊어지곤 한다. 가진 자와 가지고 싶은 자 간의 갈등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파도가 백사장에 닿지도 않았는데 이미 우리 사회의 갈등은 임계점에 다다르고 있는 느낌이다. 

여 대(对) 야, 각 정당 내 계파 대 계파, 보수 대 진보, 남성 대 여성, 노인 대 청년 등 꼬인 실타래도 복잡하다. 이렇게 갈등과 투쟁만 반복하다가는 우리나라의 역사가 앞으로 어찌 쓰일는지 걱정이 크다. 앞으로 20년, 30년 뒤 우리 경제 수준을 결정할 글로벌 전쟁 통에 도끼 자루가 썩는지도 모르고 정신없이 다투기만 해선 곤란하다.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해야 한다

교육도 바뀌어야 한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는데 교육의 콘텐츠는 제자리걸음을 하는 느낌이다. 물론 20년 전, 30년 전과 교과 과정을 비교하면 큰 차이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획일적인 평준화 교육에 매몰되어 있는 현실이 큰 문제다. 옥스퍼드대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20년 내 현재 일자리 절반가량이 로봇 등으로 대체될 것이라고 한다. 지금은 노동의 영역이지만 상당수가 로봇,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서버 등으로 대체된다는 의미다. 

국가의 교육 시스템이 개개인이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육 패러다임 자체를 바꿔서 말이다. 예컨대 초등학생 때부터 인공지능과 대화하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 외국어보다 컴퓨터 언어가 더욱 중요해진 시대가 도래 할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기존의 직업이 많이 사라지겠지만 여전한 일자리도 있을 것이다. 인문학에 특화된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하는 것도 필요한 것이다. 또 혁명의 전선에서 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획일적인 교육보다는 차등화한 교육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 4차 산업의 지도를 그리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자질을 지닌 학생에게는 그에 걸맞은 교육이 필요하다. 융합학과 창설 등을 통한 융·복합 인재 육성도 필요해 보인다.

새로운 직업 제공이 사회갈등 해소의 길

룬 프로젝트(Project Loon). 구글이 성층권에 통신 중계기와 무선 안테나를 장착한 열기구를 올리고 이를 기지국으로 활용해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만화 속 장면 같다. ‘왜 우리는 이런 생각을 하지 못할까’ ‘우리에겐 뭐가 부족한 걸까’라는 의문을 던져 본다. 이에 대한 답은 우리 교육 환경이 상상을 억누르는 교육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해방 후 71년간의 경제에 대해 성적을 매긴다면 ‘B+’ 정도다. 성공의 역사도 썼지만 그늘도 많았기 때문이다. 다만 발전 가능성이 있기에 B이하로 볼 수는 없다. 앞으로 5년 뒤, 10년 뒤에 우리 경제엔 또 어떤 점수를 줄 수 있을까. 그 실마리는 사회 갈등 해소와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서 찾아야만 하지 않을까.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