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할린 동포의 이주와 귀환의 역사
상태바
사할린 동포의 이주와 귀환의 역사
  • 이석호 기자
  • 승인 2007.03.30 1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한중러일 그리고 사할린 섬을 보여주는 지도
모집 동원(1939~1941)=일본은 중일전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1938년 4월 ‘국가총동원령’을 발표, 1939년 7월 ‘국민징병령’을 발표했다. 조선인 노동자를 필요로 하는 사업주는 인원을 지방장관에게 신청하고 국가노무동원계획에 따라 각 사업주는 모집인원을 할당 받았다.

이러한 ‘모집’은 사실상 강제적이어서 조선인들은 군수공장, 탄광 등에 강제로 고된 일을 해야만 했다.

관주도 동원(1941~1944.9)=관 주도 알선은 당시 이미 행해지고 있었던 노동자 모집에 대한 총독부의 사실상의 관여를 한층 체계화한 것이었다. 각지의 면과 군은 총독부로부터 모집노동자의 일정 수를 배정 받았고, 면사무소 직원들은 자기 관할하의 각 세대에 이를 다시 할당했다. 관주도 방식에 의하여 동원된 한인의 수는 약 26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

국민징용령 동원(1944.9~ 1945.8)=국가총동원체제하에서 징용령은 전쟁말기에 이르러 전사자가 급증하고 징병이 한계에 달하면서 성인남자 노동력이 바닥남에 따라 정부는 1944년 9월 법적 강제에 의한 징용을 개시했다. 이 징용령이 시행된 후 종전까지 약 1년 사이에 40만 명 이상의 한인이 강제연행 되었다.

3단계의 한인노무 동원으로 종전까지 약 86만 명에 이르는 한인이 강제로 연행되었으며, 이중 약 15만 명이 사할린으로 끌려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사할린 한인의 귀환문제=1956년 국제적십자위원회(ICRC) 부총재가 한국을 방문하고, 사할린 동포 문제를 논의하면서 대두됐다. 1958년에는‘화태억류 귀환 한국인회’가 결성되었고, 1960년 8월 국내연고자 1천여 명이 사할린 동포의 귀환희망을 표현하면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1985년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수차례에 걸친 접촉에 의해 한ㆍ일 양국 적십자 간에 ‘사할린 거주 한국인 지원 공동사업체’를 결성하고, 한ㆍ일 양국의 지원으로 사할린 동포 모국방문 사업을 추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