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60주년 맞아 재일동포 84명 방한
상태바
제주 4.3 60주년 맞아 재일동포 84명 방한
  • 이현아 기자
  • 승인 2008.04.03 13: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 중심으로 범아시아적 평화연대 만들기로


제주 4·3사건 60주년을 맞아 『화산도』의 저자 김석범 씨 등 84명의 재일동포와 60명의 일본인으로 구성된 4·3 60주년 재일동포·일본인 교류방문단이 지난 2일 제주를 찾았다.

4·3 6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는 지난달 23일 제주민예총 주관으로 펼친 ‘평화의 길 걷기’를 시작으로 공식 4·3 주간을 시작했다. 이번 기념사업은 오는 30일까지 진행되며, 제주4.3연구소와 제주4.3희생자유족회,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도지회, 4.3진상규명도민연대, 명예회복추진범국민위, 제주민예총 등 10여개 제주 민간단체 및 기관이 참여한다.

한편, 20년 전 일본에서 ‘4·3을 생각하는 모임’을 결성해 매년 추도집회, 강연회, 문화공연 등을 개최하며 4·3의 의미를 되새겨 온 재일동포 단체와 일본인 시민단체들이 이번 60주년을 기념해 6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의 초청을 받아 제주에 왔다.

위원회는 “60주년 4·3을 맞아 4·3사건으로 고향을 등지고 일본에서 오랜 세월을 살아온 재일동포들과, 지난 1988년 일본에서 열린 40주년 추도식 이후 일본의 4·3운동 주체이자 지원자로서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해 활동해 온 일본인 등 144명을 초청했다”며 “이번 재일동포·일본인 4·3교류방문은 4·3의 역사적 진실에 사실감을 불어넣고 현재진행형인 4·3의 해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며, 4·3의 국제적 연대를 확고히 하고 동아시아에서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실현하는 4·3의 역사적 위치를 가늠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방문단에는 4.3사건과 친일파 처단이라는 두 가지 문제를 주제로 삼아 집필한 『화산도』의 저자 김석범 씨 등 4·3관련 문화·예술가를 비롯해 본인이나 가족이 4·3사건을 겪었던 실제 피해자들이 다수 포함돼 있어 눈길을 끌었다.

방문단은 이번 행사를 통해 4·3유족들과 함께 3일로 예정돼 있는 위령제에 참가하고 4·3유적지를 방문할 예정이다. 방문단 측은 “이번 방문을 통해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인권을 생각하는 계기로 삼고, 그 의의를 일본의 많은 이들에게 알리겠다”며 “앞으로 제주 4·3과 그 운동을 한반도를 넘어서 국제화시키는 데 보다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조동현 4·3 60주년재일동포·일본인교류방문 도쿄·교토지역방문단장은 “일본에서의 4·3운동은 지난 1988년 40주년 추도집회 이후 거의 매년 추도집회, 강연회, 문화공연 등으로 일본 현지에서 개최돼 왔다”며 “한반도에서조차 금기시 됐던 4·3운동을 일본 땅에서 20여년에 걸쳐 쉬지 않고 지속적으로 펼쳐온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고 회고했다.

조 단장은 이어 “때때로 우리들의 운동에 가해진 민단 및 총련, 한국정보기관의 방해 등 우여곡절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4·3 60주년을 맞이할 수 있었던 것은 지금까지 함께 해 온 양심적인 일본인 벗들 때문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4·3 60주년은 특히 4·3의 의미를 확산시켜 제주도를 구심점으로 하는 범아시아적 평화연대 구성을 염두에 둔 행사들이 두드러졌다. 제주 민예총은 4일 제주 열린정보센터에서 국제문학심포지엄을 열고 제주, 오키나와, 대만, 베트남의 문학인들을 초청해 각 지역사회의 역사적 인식 공유와 연대방안을 모색해 본다.

또한 민예총 재일본 실행위원회는 오는 19일과 21일 오사카 쿠레오오사카중앙대홀과 도쿄 닛뽀리써니홀에서 작가 김석범 씨를 초청해 ‘제주도 4·3사건의 현재’라는 제목의 강연과 함께 한국 전통의 민속굿 한마당을 펼친다.

제주 4·3사건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군인, 경찰 등 공권력에 의해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전문가들은 본 사건으로 인한 잠정적 인명피해를 2만 5천~3만 가량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1950년 4월 김용하 제주도지사가 밝힌 2만 7천719명과 한국전쟁 이후 발생된 예비검속 및 형무소 재소자 희생 3천여 명을 포함해 정밀조사를 펼치고 있다.

국가공권력에 의한 대량 민간인 학살이라는 점에서 학계와 시민사회는 국제적 연대를 통한 진상규명과 실태조사가 이루어져야 함에 의견을 함께 하고 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