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해외 10대 트렌드 핵심, 저성장·갈등·각자도생
상태바
올해 해외 10대 트렌드 핵심, 저성장·갈등·각자도생
  • 고영민 기자
  • 승인 2013.01.10 11: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ERI 보고서 “선진국 재정긴축 지속, 저성장 장기화… 다발적 갈등 야기”

2013년 해외 10대 트렌드 키워드로 저성장, 갈등, 각자도생이 제시됐다.

삼성경제연구소(SERI)는 9일 ‘2013년 해외 10대 트렌드’란 제목의 보고서(CEO Information, 박현수 수석연구원 외 9명)를 통해 경제, 정치사회, 산업경영 부문에서의 트렌드를 전망했다.

연구소는 보고서에서 “2013년은 세계경제의 성장활력이 부진한 가운데, 선진국의 재정긴축 이행으로 저성장이 장기화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이러한 저성장은 경제권, 국가, 계층 등에서 다발적인 갈등을 야기하는 요인이다”고 분석했다.

이어 “각국의 상이한 경제상황으로 공조가 어려워 국가, 기업 등이 스스로 위기 극복을 도모하는 각자도생(各自圖生)의 형국이 될 것이다”고 예측했다.

▲ [자료=SERI]

연구소가 제시한 올해 해외 10대 트렌드는 △성장 억누르는 선진국의 재정긴축 △글로벌 환율갈등 파장 확대 △신(新)경영리스크로 대두하는 글로벌기업 규제 △아시아를 둘러싼 미국-중국 통상주도권 경쟁 △모바일산업 주도권 쟁탈전 심화 △어려움 지속되는 신재생에너지산업 △제조업 투자유치전 본격화 △동북아 외교갈등 완화 모색 △중동 정정불안 확대 △고통분담 둘러싼 갈등 심화 등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는 선진국 재정긴축의 지속이 경기회복을 제약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소비 및 투자가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또, 선진국의 양적완화가 글로벌 환율갈등의 불씨로 작용하고, 이러한 갈등은 관세 및 비관세 장벽 공방이라는 통상갈등으로까지 확산될 수 있다.

글로벌 기업 규제와 관련해, 신흥국 정부도 선진국의 글로벌 기업 규제를 모방해 자국 산업보호를 위해 외국기업 규제를 강화할 것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현지법 준수, 글로벌 조세전략 재검토 등 규제피해 최소화 노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금융위기 이후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아시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미국-중국(G2) 간의 통상주도권 경쟁이 본격화 될 것이다. 특히 미국 주도의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와 중국이 진행하는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라는 상이한 경제협력체 경쟁으로 대외적 불확실성도 가중될 수 있다.

모바일 산업에서는 중국기업이 거대 내수시장과 가격경쟁력을 무기로 성장세를 지속하며 애플과 구글 진영을 위협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기후변화협약 교착, 재정위기로 인한 정책지원 감소, 셰일가스를 비롯한 화석연료 가격 하락 등으로 올해도 부진이 지속될 것이다.

성장 동력으로 다시 부각되고 있는 ‘제조업’의 투자유치전 본격화와 관련해, 선진국은 생산기지의 국내회귀를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신흥국은 탈중국 현상을 기회로 투자유치를 더욱 강화할 것이다.

이외에도 동북아 강대국의 국내 정치 지형 변화로 외교적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중동 역시 이란 핵문제, 시리아 사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등으로 위험이 확산될 수 있다. 특히, 이란 핵문제 등 중동 분쟁이 악화될 경우 국제유가가 급등할 소지가 있다.

마지막으로 올해는 재정위기 대응에 따른 비용부담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이 심화될 것이다. 재정긴축 이행과정에서 소득계층 간 갈등, 유로존에서의 재정지원국-위기국 간 갈등을 비롯해 국가 내에서도 지역 간 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연구소가 지난해 ‘2012년 해외 10대 트렌드’ 보고서를 통해 예측한 선진국 긴축 본격화, 신흥국 성장 감속, 소셜파워의 영향력 확대, 신자원전쟁 확산 등의 예측은 실제와 상당 부분 부합된 것으로 평가됐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