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 위한 단일기구 필요”
상태바
“한국어교육 위한 단일기구 필요”
  • 이석호 기자
  • 승인 2006.12.20 10: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국어원 ‘한국어세계화 전략 수립’ 토론회
▲ 국립국어원이 주최한 ‘한국어 세계화 전략 수립을 위한 토론회’가 지난 15일 국회도서관 내 회의실에서 ‘동북아시아 지역의 한국어 교육 확대 방안’이라는 주제로 열렸다. <사진=정재수 기자>
국립국어원(원장 이상규)은 지난 15일 국회도서관 내 회의실에서‘한글문화 세계화를 위한 의원 모임(대표 신기남)’, ‘국회문화정책포럼(공동대표 안민석, 이계경)’과 공동으로 한국어세계화 전략 수립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장협 국립국어원 기획관리과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한국어 세계화 전략’을 추진하기 위해 한국어 해외 보급체계를 국립국어원으로 일원화하고, 문광부 소속 재외 12개 한국문화원을 거점으로 교류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을 주장했다.

기조연설에서 그는 세부 추진 전략으로 중국, 몽골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지역에 우선 ‘한국어 문화학교’를 단계별로 설치ㆍ운영할 것을 제시하고, 한국어 세계화를 위해서는 지리적, 문화적으로 가까운 이들 국가에 대한 지원이 선행돼야 함을 강조했다.

이 과장은 이어 "현재의 국립국어원을 연구중심의 기관에서 정책개발과 집행중심으로 재편해야 한다”며 “전문 교수요원 30명을 포함한 교육ㆍ연수부서의 신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경북대 이광석 교수는 “국립국어원과 한국어 교육을 필요로 하는 기관이 이렇게 난립해야 할 이유가 없다”며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정부기관의 편성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석진 경북대 교수도 “교육인적자원부, 외교부와의 업무 중첩성에 대한 치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비효율적 업무관리에 대해 질타했다.

정도상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 상임이사는 “한국어위원회를 만드는 법안을 발기ㆍ통화시키려 노력하고 있다”며 “학계, 문학계, 국립국어원이 참여하여 국어정책에 대해 조율하는 한국어위원회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사회를 본 송향근 부산외국어대 교수는 “국립국어원, 지자체, 시민단체에서 실행하는 많은 한국어 교육을 어떻게 단일화하느냐에 대해 생각해 봐야 한다”고 정리했다.

한편 토론에 나선 곽병찬 한겨레신문 논설위원은 “34만 외국인 노동자들이 원할이 한국어를 소통할 수 있다면 국가적으로 10조원 정도의 경제적 이익이 발생한다”며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한국어 교육의 효율성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

우르진룬데브 주한 몽골 대사관은 “몽골 사람들이 한국에 방문하기 위한 비자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한국어 세계화에 앞서 그 나라 대중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그 감정을 먼저 읽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