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정책 방향 등 한미간 상호 교류
상태바
대북정책 방향 등 한미간 상호 교류
  • 뉴욕 =김춘효 기자
  • 승인 2006.12.11 1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6 뉴욕전문가 포럼, 정치인·학계 등 100여명 참석
▲ 민주평통뉴욕협의회가 주최한 부시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을 전망과 한미간 정책방향에 대한 전문가포럼이 지난달 30일 미국 뉴욕대학교 공공정책 대학원에서 열렸다.(사진제공=민주평통)
부시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을 전망과 한미간 정책방향에 대한 상호 이해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전문가포럼이 지난달 30일 미국 뉴욕대학교 공공정책 대학원에서  열렸다.

민주평통뉴욕협의회(회장 이세목)가 주최하고 뉴욕, 뉴저지 한인 유권자 센터 주관으로 개최한 포럼에는 재외동포, 정치인, 학계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연설에 나선 개리 액커멘 의원은 북한의 핵보유 선언 이후 부시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해 미국과 국제사회가 감당해야 하는 비용이 더 늘어나게 되었다고”진단하고, “부시 행정부의 정책이 바뀌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원웅 위원장은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위해서는 6자 회담이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미북간의 대화도 다시 시작하여야 하며, 서로 간에 주고받는 것이 있는 분명한 대화가 되어야한다”고 주장했다.

스트로브(David Straub) 존즈홉킨스대 교수는 “미국 의회가 민주당으로 바뀐 것으로는 대북정책의 변화는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스트로브 교수는 “부시행정부 임기가 끝나야 대북정책의 궁극적인 변화가 가능할 ”이라면서, 향후 한국과 미국의 정부가 바뀌는 시기에 긍정적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문 캐서린 (Katharine Moon) 웨슬리대 교수는 “미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들의 역할에 대해 장기적인 비전을 가지고 정치적인 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어야 하며, 인권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정책들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석자들은 질의응답을 통해 △한반도에서 장기적인 계획은 어떻게 세워야 하는가? △과거에 뒤틀렸던 역사에 대해서 어떻게 다시 접근해야 하는가? △비정치적인 영역에서 어떠한 일을 할 수 있는가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