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상품
상태바
녹색상품
  • 이무성
  • 승인 2005.06.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무성의 해외경제평론 2] 지속가능성으로서 생산형태
녹색으로 대표되는 친환경 상품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으로 점점 확산되어 가고 있다.
웰빙 다시 말해 참살이로 새로 명명된 친환경 먹거리를 포함하여 유기농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은 한 때의 유행을 넘어 현대를 살아 가는 모든 이들에게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의한 교토의정서 발효에 따른 기업들의 환경에 대한 적극적 대응, 화석연료 고갈에 따른 천연 재생에너지로서 태양열, 풍력, 지열 등 대체에너지는 녹색에너지로 새로이 이름을 부여 받고 녹색상품의 대열에 합류하였다.

이젠 녹색을 무시해서는 안되는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녹색은 유형의 상품에서만 통용되는 게 아니고 녹색 교통, 녹색 교육 더 구체적으로 생태적 대안대학으로서 녹색 대학, 녹색 건물 등 등... 주변에서 이루 훼아릴 수 없이 경계를 허물면서 급속히 퍼져 가고 있다.
녹색정부라는 호칭으로 명명되기를 원하는 국가도 있을 정도니 유럽에서 한 때 새로운 정치지형을 구가하였던 녹색당의 전세계적으로 확산, 지역생활정치의 중요성 강조도 녹색사회를 지향하고자 하는 이들의 염원에서 태동하였다. 종교적으로 친환경적인 녹색교회나 녹색불교를 전면에 표방하여 도시문명의 일탈을 통해 자연과의 합일을 강조하기도 한다.
녹색상품 자체는 현대인에게는 부담없이 받아들이는 공통의 상표로 자리를 틀고 있다고 보여 진다.
WTO체제하에서 선진공업국들은 녹색으로서 그린(Green)라운드, 노동으로서 브루(Blue)라운드를 설정하여 개발도상국들로 하여금 이를 준수케 강요하고 있다. 노동라운드는 노동자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지 않은 국가의 상품에 대해서는 관세 부과 등 높은 진입장벽을 둔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녹색라운드는 일정한 환경기준을 준수하지 않고 생산된 제품의 자국으로의 반입에 대해 엄격한 통제를 한다. 이는 선진국들이 자신의 상품에 대해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활용하고 있다. 모든 세계경제질서라는 게 힘있는 국가들에 의해 주도 되고 있다고 하지만 녹색상품을 자국의 상품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할려는 관점에서 강행할려는 처사는 지나치다고 보여진다. 기후온난화에 의한 오존층 보호 등 지속가능한 생태계 보존 차원에서 발효된 기후변화협약에 대해 세계 최대의 이산화탄서 배출국가인 미국의 불참은 자국이기주의의 극치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환경을 고려한 녹색으로 대표되는 상품은 국가간의 이해관계나 경제력의 우열에 의해 제단되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