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동북아코리안의 국제연대
상태바
[칼럼] 동북아코리안의 국제연대
  • 재외동포신문
  • 승인 2005.04.0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 초 동북아의 화두는 단연 독도문제이다.

일본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과 교과서 왜곡시도는 그동안 어렵게 쌓아올려왔던 한일관계를 일시에 위태롭게 하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또한 작년 중국의 역사왜곡시도인 동북공정은 간도문제까지로 파급되면서 한중간의 지속적인 갈등을 만들고 있다. 이렇듯 동북아지역의 역사 해석과 영토분쟁 등을 둘러싼 여러가지 갈등은 다시 한번 동북아평화가 얼마나 멀리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국가주권과 역사주권을 지키기 위해 국가적 차원, 국민적 차원, 나아가 민족적 차원의 강력한 대응이 필요한 당위성도 가지고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이러한 국가간 갈등, 민족간 갈등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동북아 평화문제를 바라봐야 할 것인가라는 어려운 문제를 던져주고 있기도 하다.

독도문제에 대한 일반 국민의 정서는 강경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대통령까지 나서서 강력한 대응을 시사하고 있기도 하지만 일반국민의 정서는 이를 넘어 일본에 대한 강력한 배타적 태도가 점점 도를 넘어가고 있기도 하다. 한편으로는 쇼비니즘(광신적, 맹신적, 호전적, 배타적 애국주의)이 우려되는 대목이기도하다. 동북공정에 대해서도 우리 국민은 비슷한 패턴을 보여준 바 있다.

동북아평화라는 관점에서 볼 때 사실 이 부분에 딜레마가 있다. 상대국의 패권적 태도에 대응은 필연적인 부분이지만 우리안의 쇼비니즘과 국가주의에 기대어 문제를 푸는 것은 국가, 민족간의 충돌, 갈등의 재생산을 오히려 확대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한가지, 독도문제와 동북공정 등에 대한 과열속에서도 여전히 잊혀져 있는 존재들이 있다. 바로 재일동포들과 중국동포들의 문제이다. 사실 지금 그들은 이러한 국가와 민족간의 갈등 한가운데 있는 사람들이고 최대의 피해자가 될 수 있음에도 그동안 우리는 이들을 쉽게 외면해왔다.

한 중국동포는 고구려에 대한 역사왜곡은 관심을 가지면서, 정작 그 땅에서 민족적 정체성을 지키고 있는중국동포에 대한 모국의 무관심은 정말 이해하기 힘들다고 했다.

각국의 시민사회의 반응을 보면 이러한 국가적 갈등과 민족갈등에 있어 동북아는 시민사회의 방어망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동포들에 대한 안전망이 전혀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시민운동이 발달한 한국에서도 한국의 민족주의가 쇼비니즘화하는 것에 대한 경고를 찾기 힘들다.

일본의 시민사회는 한국의 이런 반응을 전하는 매스컴에 철저히 놀아난다. 매스컴이 북한에 대해 왜곡된 이미지를 재생산해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일본을 증오하는 한국사회의 이미지를 재생산하고 이를 시민사회가 여과없이 수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 반론을 제기하는 것에 대해 사회적 금기화 분위기가 무겁게 지배하고 있다.

결국 문제의 원천적인 해결은 각국의 시민사회가 변화하는 것이다. 자국의 지나친 민족주의나 팽창주의가 타국의 역사나 주권을 침해하거나 왜곡할 때 이를 감시할 수 있고 경계할 수 있는 평화의 방어막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점점 국제시민연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연대의 차원에서도 여전히 관심의 사각지대인 동포의 문제는 빠져있는 모습이다.   

이제 다른 차원에서 동북아코리안의 국제연대가 필요한 시기가 온 것 같다.  동북아코리안의 시민세력들은 국가갈등과 민족갈등에 대해 약자의 입장으로 쉽게 노출되어 있는 자신들의 안전망을 보편적인 동북아평화를 만들어가고자 하는 시민사회와의 연대를 통해 확보하도록 나아가야 할 것이다. 또한 동북아 코리안 차원에서 빈번하게 생기는 이러한 문제 들에 대해 코리안네트워크 차원의 연대도 절실하다.  

김종헌- 동북아평화연대 연해주물결운동 사무국장
ggakgong@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