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일기로 보는 조선시대 일상과 역사
상태바
개인 일기로 보는 조선시대 일상과 역사
  • 정소영 기자
  • 승인 2018.11.06 1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시대 개인일기4-충청‧강원‧전라‧경남』발간···조선시대 일기’ 172건 조사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종덕)는 충청, 강원, 전라, 경남 지역에 있는 ‘조선시대 개인일기’ 172건을 조사하고, 그 목록과 중요일기 27편의 해제(解題)와 시각 자료를 수록한 『조선시대 개인일기4 –충청‧강원‧전라‧경남』을 발간했다고 11월 6일 밝혔다.(사진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종덕)는 충청, 강원, 전라, 경남 지역에 있는 ‘조선시대 개인일기’ 172건을 조사하고, 그 목록과 중요일기 27편의 해제(解題)와 시각 자료를 수록한 『조선시대 개인일기4 –충청‧강원‧전라‧경남』을 발간했다고 11월 6일 밝혔다.

개인일기는 솔직하고 자유로운 문장과 필체로 당시를 보여주는 기록이다. 독자를 대상으로 한 기록이 아니므로 대부분이 정형화되지 않은 필체로 쓴 필사본이다. 내용파악도 어렵고 지극히 개인적인 기록이어서 그 소재 파악도 어렵지만 저자가 생활한 지역의 명소나 풍속, 만난 사람들과의 교유관계, 관인(官人)의 일상에 나타난 여러 정치 상황 등 다양한 내용들이 적혀있어 조선시대의 소소한 부분까지 이해할 수 있는 흥미로운 기록이다.

동일한 사건에 대하여도 일기마다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예를 들면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에서 찾을 수 없는 사건이 『감재일기(感齋日記)』에는 자세히 기록된 예가 있다. 『감재일기』 1609년 1월 24일조에 이산해(李山海, 1539~1609)가 병이 들어 제대로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는 이유로 사직을 청하자 광해군이 내의원을 보내어 위문하고 사퇴요구를 반려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부분은『광해군일기』에는 수록되지 않았고 이산해의 문집에서도 찾을 수 없는 내용으로, 광해군이 이산해를 신임한 정도가 명확히 드러난 사료라고 하겠다.

또, 『감재일기』 1609년 2월 16일조에는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죽은 이발(李潑, 1544~1589)을 양사(兩司, 사간헌‧사간원)에서 함께 신원을 요청하고자 올린 계사(繫辭)가 수록돼 있는데, 『광해군일기』에는 그러한 사실만 수록되었을 뿐 계사가 없어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운데 『감재일기』를 통해 광해군 시기의 역사가 일부 복원될 수 있다.

『조천일기(朝天日記)』는 현재 남아 있는 최응허(崔應虛, 1572~1636)의 유일한 저작으로 추정되는 일기이면서, 광해군 말년 북경으로 향하는 해로사행(海路使行)이 어떠한 과정으로 진행됐는지를 알 수 있는 기록이다. 한양에서부터 북경에 도착해 안주로 되돌아올 때까지 9개월간 하루도 빠지지 않고 일자별로 날씨, 유숙한 장소, 해당 날짜의 활동이 담겨져 있다.

▲ 『조천일기(朝天日記)』.(사진 국립문화재연구소)

『시언(是言)』은 구례 지역 유씨 가문의 100년간의 일기로 흔히 ‘운조루일기’라고 불리는 일기 자료 중 5대 주인인 유제양(柳濟陽, 1846~1922)의 개인일기이다. 유제양은 관직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 힘쓰는 구례 지역의 지주였다. 『시언』은 이런 그의 시각으로 당시의 상황 등을 기록하였다. 7세가 되어 서당을 다니기 시작한 일, 12세가 되어 󰡔사기(史記)󰡕를 읽은 일 등의 기록을 통해 당시 향촌 양반가의 교육 상황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물건 값이나 인부들의 노임 등의 내용은 농업 경제사 복원에 참고가 될 자료가 담겨 있다.

▲『시언(是言)』.(사진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양일기(鏡陽日記)』에는 강릉을 기반으로 한 사족(士族) 김연학의 일상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새해 첫날의 세배와 성묘, 자녀의 출산과 죽음, 모친의 병구완, 가까운 친족의 장례와 제례, 인편으로 편지를 주고받은 사람들, 직접 대면한 사람들을 통한 교유관계 등 일상생활의 다양한 내용이 담겨 있다. 또 강릉과 인근지역의 다양한 지명이 등장하고 있어 지명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경양일기(鏡陽日記)』.(사진 국립문화재연구소)

한편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 4년간 전국에 현존해 있는 조선시대 개인일기의 현황파악을 위해 지역별, 소장처별 목록을 조사했고, 그 결과를 『조선시대 개인일기1-대구‧경북』(2015), 『조선시대 개인일기2–인천‧경기』(2016), 『조선시대 개인일기3–서울』(2017)로 발간‧배포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이번에 발간한 책자는 국공립 도서관과 국내외 연구기관 등에 배포할 예정이며, 원문은 국립문화재연구소 누리집(www.neich.go.kr,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