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족의 노래 '아리랑'을 국내 최초로 서양식 음계로 채보해 세계에 알린 호머 B. 헐버트 박사(1863~1949)가 (사)서울아리랑페스티벌조직위원회(위원장 윤영달, 이하 조직위) 제정 제1회 서울아리랑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조직위는 14일 "아리랑의 가치 공유와 확산을 위해 서울아리랑상을 제정했다"며 "129년 전인 1886년 한국에 온 헐버트가 우리 소리에 남다른 관심을 기울여 구전으로 전해지던 아리랑 가락을 서양식 음계로 채보해 우리 음악사의 새로운 지평을 연 것이 '서울아리랑상'의 제정 취지에 잘 부합해 첫 수상자로 합의 추대했다"고 밝혔다.
헐버트는 논문에 앞서 한국에 처음 온 1886년 10월17일, 미국에 있는 누이동생에게 보낸 편지에 옆집 꼬마들이 부르는 아리랑 가락을 오선보를 직접 그려 옮기고, 가사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를 써넣기도 했다. 이 편지는 천안독립기념관에 마이크로필름으로만 보관되어 있을 뿐 친필편지 원본의 행방을 알 수 없었다.
헐버트는 주시경 선생과 함께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점찍기 등을 도입했고, 최초의 한글 교과서 '사민필지'를 직접 저술하는 등 교육사업에도 큰 업적을 남겼다. 또한 서재필 박사의 독립신문 발간을 물심양면으로 도왔고, 도산 안창호 선생 등과 함께 독립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로 1949년 별세 당시 국내 최초로 외국인 사회장으로 장례가 치러졌고, 이듬해 건국공로훈장 태극장(독립장)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한글연구와 교육에 심혈을 기울여온 공로로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됐다
윤영달 조직위원장은 "서울아리랑상 첫 수상자로 아리랑을 세계에 알린 호머 B. 헐버트 박사가 선정돼 기쁘다"며 "내년부터는 아리랑 관련 자료의 수집 발굴, 새로운 예술양식 창조를 통한 음악적 가치 확산, 독보적 학술연구 성과 등을 거둔 개인 또는 단체를 대상으로 추천과 심의 과정을 거쳐 수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아리랑상 시상식은 다음 달 7일 오전 11시 서울 광화문 KT올레스퀘어 드림홀에서 열린다.
한편, 서울아리랑페스티벌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로 문화적 가치와 중요성을 인정받은 '아리랑'을 비롯한 한국 대표 문화 콘텐츠로 꾸미는 문화예술축제로 첫 해 10만여 명, 지난해 12만5000여 명이 다녀갈 정도로 성황을 이룬 바 있다. 3회째인 이번 행사는 7일 서울아리랑 시상식에 이어 10, 11일 이틀간 광화문광장에서 진행된다.

김영기 기자 dongponws@hanmail.net
tobe_ky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