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 손잡고 통일한국 건설하자
상태바
재외동포 손잡고 통일한국 건설하자
  • 박인규
  • 승인 2013.07.15 10: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은행 김용 총장, 미래창조과학부 김종훈 장관 후보자 등 세계 속에서 이름을 떨치고 있는 재외동포들이 날이 갈수록 늘고 있다. 재외동포는 재외국민과 외국국적의 한국인, 무국적의 한국인 등을 총칭하는 말로써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 민족 모두를 의미한다.

이러한 재외동포가 한국 역사에서 가지고 있는 역할과 비중은 참으로 막대하다. 한국이 주권을 상실하였을 때는 독립운동가로, 해방 이후에는 산업화의 주역으로 뜨거운 조국애를 보여준 것이다. 매일 옆에서 사람이 다치거나 죽어나가지만, 조국에서 송금을 기다리고 있는 가족들과 국민들을 생각하며 위험한 일을 대신한 그들은‘영웅’이었다. 실제로 이 시기 수출액의 2% 가량은 재독 광부와 간호사들의 수입으로부터 나왔다.

그러나 해방 이후 한국의 혼란스러운 정국으로 인해 고향으로 끝내 귀환하지 못한 한인들도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대상이다. 일제의 국가총동원령에 따라 강제 징용된 사할린 한인들은 해방 이후에도 사할린 개발을 위해 노동력을 착취당하며 출국을 금지 당했다. 손가락이 문드러지고, 몸뚱이가 만신창이가 되어도 고향 길은 생생하다던 한인 1세분들은 소수만 생존해 계시고, 사할린 전역에는 국가로부터 아직 확인되지 못한 한인 묘들이 무수히 존재한다. 따라서 이들을 상기하며 국가의‘역할’을 고민하고, 진정한 의미의‘민족 공동체’형성을 위해 합심하는 것이 통일한국을 준비하는 미래 세대의 책무라고 생각한다.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성공은 장구한 역사 속에서 남북한이 끈끈히 이어온 일체감 회복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있어 그동안 무한한 동포애와 조국애를 보여준 재외동포들의 다양한 경험과 역할이 절실히 필요하다. 21세기는 국경을 넘은 세계화시대로 금융자본이 그렇듯 사람도 국경을 넘나들면서 새로운 사회를 만들고 있다. 탈냉전시대를 맞아 다양한 매체를 동반하며 한국을 도울 수 있는 ‘민간 외교관’ 재외동포들은 외국에 한류문화를 전파할 뿐 아니라 소비되는 데에도 절대적인 힘을 보태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에서는 재외동포에 대한 편견이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다. 그들이 살아온 환경과 생활 방식에 대한 이해 없이 한국사회에서의 일방적인 적응만을 기대하고, 한국 중심의 가치관 정립을 요구한 탓이다. MBC '위대한 탄생'의 우승자 백청강 씨는 조선족에 대한 편견으로 인해 한국 사회에서 적응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언론 인터뷰에서 토로하기도 했다.

이는 재외동포와의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과 이국땅에서 살아남기 위해 그 나라에 충성을 다해야 했던 이들의 역사적 배경을 한국인들이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앞선 문화와 전통, 역사관에 동의하지 않는 같은 민족이 있을 수 있다는 것 또한 한국인들은 인식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한국인의 자기중심적 기준과 잣대였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핏줄이라면 함께 따라야 한다고 믿는 한국인들은 아직도 셀 수 없이 많다.

이처럼 좁은 이해로 완성된 접근은 재외동포지원정책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재외동포가 이주국의 시민임을 자각하고, 거주국에서의 권익과 지위 향상을 위한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국의 이해에 따른 정책이 중심적으로 펼쳐졌다. 대표적인 재외동포지원정책으로 꼽을 수 있는 사할린동포 귀환이주정책 역시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작년 사할린에서 뵌 한인 1세분과의 만남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영주 귀국자에 대한 법적 기준 자체가 광복 이전 이주자에 국한되어 있었고, 부부를 제외한 동반가족의 귀국도 허용되지 않는다. 즉 자신이 일군 터전과 가족을 떠나지 않고서는 한국으로 올 수가 없고, 광복 이후 이주자는 지원 또한 받지 못한다니 제대로 된 지원 체계가 맞는지 고민스러웠다. 한인 1세분들이 현실적인 귀환 이주 정책 또는 사할린 내에서의 복지 증진을 위한 맞춤형 지원정책을 요구한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또한 남북한은 재외동포를 남북대결의 대외활동 수단으로 간주하며 동포사회 분열의 원인을 제공했다. 결국 이로 인해 재외동포들이 한국에 기여할 기반이 제대로 조성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친북 동포단체를 모두 아우르는 모국 방문행사의 시행과 같이 이념을 넘어선 포용이 필요하다.

어느덧 재외동포가 720만 명이 넘었다. 남북 인구 7,500만 명의 약 10%이다. 거주국 내에서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재외동포사회는 2,3세대로 세대교체가 이루어지는 전환기에 다다르고 있다. 점차 규모가 커지고 있는 재외동포사회를 포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젊은 세대가 민족 통합을 위해 힘쓰도록 뿌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실제로 근래 세계 각국에서는 민족의 정체성과 자신들의 뿌리에 대한 국학교육을 강화하며 국력을 높이고 있는 추세에 있다. 심지어 중국은 동북공정과 같은 역사 날조도 서슴치 않으면서 자신들의 정체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고, 세계를 움직이고 있는 유태인 민족은 민족정신의 중요성을 일찍이 인식하여 교육을 통해 그 정신을 잇고 있다. 반면 한인동포들은 자녀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할 민족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왜곡된 교과서로 한국을 배우고 있어 많은 염려를 보내고 있다.

글로벌 환경에서 우리 모두는 재외동포로서 살아갈 수도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태어났다. 더 이상 남의 일 마냥 재외동포 문제를 바라봐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따라서 이제는 세계 속에 뻗어있는 동포들과 함께 협력할 수 있는 자리를 더욱 확장하여 마련해야 한다. 재외동포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불식시키지 않으면서 통일 이후 한층 폐쇄적인 사회에서 성장하고 자란 북한 동포들을 어떻게 포용할 것인가라는 지적도 새겨들어야 마땅하다. 한국과 이주국간의 가교인 재외동포들과 손잡고 ‘화해’와‘협력’의 한민족 공동체를 활성화 할 때 비로소 머지않은 미래 통일한국이 실현되어 우리 앞에 다가와 있을 것이다.
 
박인규(전국청소년정치외교연합(YUPAD) 4기 전국회장, 공주대부설고 3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