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관광용품 개발, 제3의 눈으로 보자”
상태바
“브랜드 관광용품 개발, 제3의 눈으로 보자”
  • 고영민 기자
  • 승인 2013.03.06 16: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정재건 Jay Joshua Inc. 회장

지난해 재외국민선거 과정에서 뉴욕지역 한인유권자들의 투표참여 독려에 앞장서 국내외에서 주목을 받은 바 있는 정재건(Jay Chung·사진) 제이 조슈아(JAY JOSHUA INC.) 회장이 모처럼 한국을 찾았다.

정 회장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참석차 서울에 머물면서 오는 11일 오전 ‘대한민국 도시브랜드 관광용품의 세계화’라는 주제의 출판기념회를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말 초판이 발행된 『뉴욕과 한국의 도시 브랜딩 스토리: 같이놀자 뉴욕, 함께가자 서울』의 저자, 정재건 회장은 “그동안 뉴욕에서 관광상품 비즈니스를 하고, 관련 교육을 받으면서 체득한 것들을 책에 담았다”며 “나의 작은 노력이 조국의 관광산업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말했다.

지난 1981년 서울대학원 응용미술대학원 재학 중 뉴욕으로 유학을 떠난 정 회장은 미국 동북부 미술대학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PRATT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DARTMOUTH UNIV. TUCK SCHOOL MBDA 최고경영자과정을 수료했다.

이후 1988년 ‘제이 조슈아’(Jay Joshua Inc.)라는 관광용품(souvenir) 회사를 설립해 뉴욕 관련업계를 주름잡을 정도의 견실한 회사로 성장시켰다. 특히 쥬얼리(Jewelry)를 다루는 ‘bala’라는 회사도 운영하고 있는 그는 이번 방한 중에 한국의 우수한 디자이너 2명을 스카우트해 뉴욕으로 함께 갈 예정이라고 한다.

▲ 정재건, 『뉴욕과 한국의 도시 브랜딩 스토리: 같이놀자 뉴욕, 함께가자 서울』, 2013.2, 북모아.

브랜드 관광용품 분야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지니고 있는 그가 책을 통해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과연 무엇일까? 정 회장은 “대한민국이 세계 10대 경제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까지 사회 각 분야에서 경이적인 발전을 이뤄왔다”며, “이제는 대도시 브랜드를 사용한 관광자원개발과 관광용품의 글로벌화 추세에 발맞춰 한국정부와 지자체도 관련정책을 시급히 마련할 시점이다”고 밝혔다.

그가 직접 저술한 『같이놀자 뉴욕, 함께가자 서울』은 지난 32년간의 뉴욕생활과 25년간 디자인에서 생산까지 도맡아 해온 뉴욕관광용품 비즈니스 경험을 밑바탕으로 대한민국의 세계를 향한 관광용품 글로벌화 필요성과 그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정 회장은 “브랜드 상품개발 과정에서 더 이상 한국인의 눈으로 보지 말고 제3의 눈으로, 즉 세계인의 시각으로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예컨대, 디자이너 발굴에 있어 국내에 제한을 두는 것보다는 국제디자인 콘테스트 등을 통해 외국인들에게도 기회를 주도록 하고, 외국인의 시각으로 바라본 한국의 이미지를 디자인하도록 함으로써 관광상품 디자인의 글로벌화를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아직도 하회탈, 돌하루방, 매듭 공예, 기왓장 등 전통 아이템으로만 승부를 거는 구태의연한 전략을 과감히 버릴 것도 주문했다. 구체적인 형체를 벗어나서 브랜드 ‘이미지’ 자체를 사용 가능한 모든 패션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패션화’ 과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그는 “세계적인 도시를 방문할 때마다 글로벌화된 실용적이고 다양한 관광상품을 접하며, 왜 우리는 이런 것들을 보여주지 못하는 걸까하고 답답한 마음이 앞섰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관광상품의 글로벌화’는 세계 어느 곳에서나 사용가능한 패션상품, 액세서리 등에 그 도시의 이미지를 입혀 그들의 생활 속으로 깊숙이 접근하는 것이다. 우리 고유의 전통도 중요하지만, 시대에 맞게 관광정책의 전환도 모색해야한다는 의견이다.

뉴욕의 히트작, ‘I LOVE NY’, ‘I ♥ NY’처럼 심플하고 강력한 브랜드 개발의 저변에는 역시 디자인의 힘이 크게 작용한다. 호소력 있는 디자인에 바탕한 관광용품의 글로벌화를 실현하기 위해선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도맡아 처리할 수 있는 기관과 정책, 인력이 필요하다. 정재건 회장은 “그 모든 제반 과정은 국가적 차원에서 이뤄져야 하며, 기업과 개인, 국가의 적극적 소통이 선행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고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