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동포들의 끝나지 않은 ‘독립운동’”
상태바
“재일동포들의 끝나지 않은 ‘독립운동’”
  • 최선미 기자
  • 승인 2009.04.24 20: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외동포의 이해’ 제3차 강연 - 이광규 재외동포포럼 이사장

1970년대 박종석 ‘히타치 사건’ 등 계기로 권익 찾기 활동

▲ 이광규 재외동포포럼 대표가 지난 22일 방통대에서 재일동포의 역사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1945년 해방된 조국으로 귀환을 서두르던 재일동포들은 뜻밖의 장벽에 부딪힌다. 일본정부와 미군 사령부가 1천엔 이상의 재산 반출을 금지한 것.

“당시 약 200만명 중에 60만명이 남아 재일동포가 됐어요.”

이광규 재외동포포럼 이사장은 지난 22일 서울 방통대 강연에서 재일동포의 역사에 대해 말했다. 일본정부는 1946년 재일동포들에게 세금을 부과하고 1947년에는 외국인등록과 지문날인을 강요했다. 이어 1948년 오사카와 고베지역에서 개정한 교육법을 한인학교에 강요한다. 차례로 이뤄진 이 조치들은 초기 재일동포들을 괴롭힌 세 가지 사건으로 손꼽힌다.

“해외의 모든 조선인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민이다.”

한국전쟁이 끝난 다음해인 1954년 북한 정부는 ‘남일선언’을 통해 적극적으로 재일동포 포용정책을 편다. 또 막대한 후원금을 지급해 폐교당한 조선학교도 부활시킨다. 이 시기 조총련(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이 결성돼 10여만 명의 동포들이 북한으로 귀국한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는 재일동포에 대한 일본 사회의 차별이 부각되던 시기다. 학교 진학부터 취직까지 재일동포들은 수많은 편견에 부딪혔다. 당시 중학생 임현일씨와 와세다대학 양정명씨의 자살사건은 동포사회에 큰 충격을 줬다.

일본사회의 차별에도 재일동포들은 빠징꼬, 야끼니쿠,‘노가다’를 주요사업으로 생존한다. 이어 1970년 박종석씨의 ‘히타치 사건’을 계기로는 재일민단 등이 앞장서 동포 권익운동을 전개한다. 이를 통해 공공 건축 아파트에 입주할 권리와 지방공무원에 채용될 권리를 갖는다. 1977년에는 김경득 씨가 한국적을 가지고 일본에서 변호사 활동을 시작하기에 이른다.

“현재 재일동포들의 최대 요구 사항은 지방참정권 획득입니다.”

이광규 이사장은 일본사회의 뿌리깊은 차별을 지적하면서 재일동포들의 권익운동이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