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러시아 고려인 정책의 새로운 방향
상태바
[기고] 러시아 고려인 정책의 새로운 방향
  • 김원균 한국교육원장(러시아 로스토프나도누)
  • 승인 2007.09.20 14: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원균 한국교육원장(러시아 로스토프나도누)
1937년 연해주의 고려인들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가 시작된지 70여년의 세월이 지났다. 이러한 고려인들의 역사와 그들의 삶에 대한 국내 일부 메스컴들의 보도를 보면, 중앙아시아의 많은 고려인들이 무국적자로 전락되었고 많은 고려인들이 비참한 삶을 영위하고 있다는 감상적 보도를 함으로써 우리 국민들로 하여금 대다수 고려인들에 대한 연민의 감정을 불러일으켰고 물질적 지원이 동포정책의 근간이라고 생각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역사는 1937년 연해주에서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뿐만 아니라, 구소련이 붕괴되고 15개의 독립국가로 분리되면서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일부 국가의 경제적 악화와 민족정책 등으로 인해 러시아 서남부지역으로의 새로운 이주가 시작된 1991년 이후의 새로운 역사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현장에서 많은 고려인들을 접하고 있고 6만 5천여명의 러시아 서남부지역 고려인들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보급하고 있는 필자 관점에서 볼 때 많은 고려인들이 무국적자라고 표현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무국적자란 표현은 국적을 보유하지 않은 사람들이지만 대부분의 고려인들은 러시아든 중앙아시아든 자신의 국적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일자리를 찾아 러시아 등으로 이주한 사람들로써 일부동포의 경우, 러시아 국적을 취득하지 못했거나 비자 만료 기간이 지나 일시적으로 불법 체류자가 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1991년 이후 러시아 서남부지역 농업지대로 이주한 대부분의 고려인들은 성실하고 근면한 성품으로 현지 사회에서 잘 적응하고 있으며, 성공한 사례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1937년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 이후 70년이 지난 시점에서 고려인정책이 물질적 지원중심의 동포정책이 아닌 새로운 관점의 동포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첫째는 고려인 정책은 친 러시아 정책과 병행해 시행되어야 한다. 고려인들만을 위한 동포정책은 현지에서 또 다른 역차별이 될 수 있으며 현지인들과 융합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장차 러시아 사회의 주역이 될 유능한 러시아 청소년들과 동포 청소년들을 적극 발굴하여 국가적 측면에서 그들을 지원 육성하여야 한다.

둘째는 청소년 중심의 동포정책이 되어야 한다.

과거 지향적 역사관에 근거한 동포정책보다는 동포청소년들이 21세기 세계화, 정보화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동포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또한 청소년들에게 우리 문화와 우리말을 적극적으로 알게 함으로써 민족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청소년 중심의 정책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그런 관점에서 볼 때 교육인적자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재외동포학생 모국방문 사업은 많은 실효성이 있고 현실적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셋째는 재외동포를 위한 투자 정책은 국가이익을 먼저 고려해야 하며 농산물 가공 산업, 화훼 분야 등 농업과 관련된 투자이어야 하고, 소수 특정인에 대한 혜택보다는 많은 동포들의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두어야한다.

그러나 이러한 동포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우리 국민의 대부분이 생각하는 고려인들과는 달리 고려인들의 생활방식이나 언어 및 사고가 대부분이 러시아화 되어 있고, 본인 스스로도 돈을 많이 벌어 현지에서 러시아인으로 행복하게 살아가기를 더 원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