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지원을 위한 장기계획 마련하라
상태바
한국학 지원을 위한 장기계획 마련하라
  • 재외동포신문
  • 승인 2007.05.24 15: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들어 한국학에 대한 세계 여러 나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과 동아시아, CIS지역 대학들에서는 해가 다르게 사상 유례가 없이 한국어 학습 수요가 늘고 있다. 국력 신장과 한류 열풍에 힘입은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고무된 정부 여러 부처들도 앞 다퉈가며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이런 정부의 지원이 북미 위주로 지나치게 편중돼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이대로라면 세계 한국학계로부터마저 비난을 사 고립될 수 있다’는 수위 높은 우려의 목소리도 흘러나온다. 그럼에도 정부는 그다지 놀라는 분위기가 아니다. 정부의 한국학 지원 정책이 북미 위주로 지나치게 편향돼 있다는 사실에 대해 관련 부처 역시 이미 오래 전부터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한국학 관련 교과 과목이 개설된 대학은 2005년 말 현재 미국 140개소, 일본 335개소, 중국 54개소, 러시아 42개소 등 세계 62개국 735개 대학에 이른다. 또 이들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한국을 연구하는 종사자만 해도 지난해 기준으로 총 2천561명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1990년 당시 32개국 151개 대학에서만 한국학 교과가 개설된 것과 비교하면 국가 수에서는 2배, 대학 수에서는 5배나 증가한 놀라운 변화가 아닐 수 없다.

특히 놀라운 일은 지난 2004년 국제교류재단의 해외 한국학 지원예산 중 전체 예산의 67.8%인 293만 7천227 달러를 미국 대학에 지원하고 있다는 점이다. 2위인 러시아가 전체의 4.4%인 19만 2천43 달러, 3위인 중국이 4.3%인 18만 7천623 달러인 것과 비교할 때 그 차이가 참으로 현격하다.

막강한 국력을 바탕으로 하는 미국 내 한국학이 해외 한국학 일반을 대표한다는 현실을 인정하더라도 이는 지나친 면이 많다. 누가 보아도 그 정도가 너무 편협 돼 있다. 한정된 예산을 이렇게 특정지역이 싹 쓸어갈 경우, 동아시아지역을 비롯해 중남미와 아프리카, 유럽 등 여타 지역에서는 예산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게 뻔한 이치다.

미국이 아무리 해외 한국학의 중심축이라 해도 그 축 역시 세계무대 속에서 하나의 축일 뿐이다.한국학을 세계무대로 견인해갈 해외 한국학의 육성과 연구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이러한 전략은 더 이상 지속해서는 안 된다. 혁신이 시급하다.

일반적으로 한국학은 ‘한국과 관련된 인문. 사회과학 전반’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한국학 지원은 한국을 바르게 알리고, 한국문화와 정신을 심도 있게 전파할 수 있도록 하자는 본연의 취지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세계의 미래와 한국의 미래를 전망하면서 장기적 안목에서 접근해야 함은 너무나 당연하다.

한국학 편중 지원의 배경에 미국이 초강대국이라는 이유에서, 또는 미국 중심의 세계질서를 의식한 정치적 실익을 챙기기 차원의 계산이 혹여 숨어있다면 부끄러운 일이다. 논리적 설득력도 약하다. 오히려 국경과 민족주의의 경계를 허물고 세계와 소통하기 위한 한국학 지원의 본래 목적을 우리 스스로 미국 및 서구 중심주의에 함몰시키는 어리석음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문제는 원칙과 기준이다. 해외 한국학은 가장 보편적이고, 가장 합리적이며, 가장 세계적인 기준에 따라 계획하고 집행되어야 한다. 현재의 불합리한 방식이 관행 탓이든, 서툰 정책 때문이든 한국학 지원책이 더 이상 특정 지역이나, 특정 국가를 차별 배제해서는 곤란하다.

더하여, 차제에 관련 부처가 한국학 전반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전문 평가를 실시해 이에 따른 장치를 마련하고, ‘한국학 지원 장기계획’을 수립해 더 이상 늦지 않게 균형 있는 발전전략을 추진할 주문하는 바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