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 공동체 논의들
상태바
한민족 공동체 논의들
  • dongpo
  • 승인 2002.12.0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영훈, "학제간 연구하는 '동포공동체학' 필요"
「한민족 공동체 형성과제와 민족정체성 문제」를 발표한 정영훈(정신문화연구원. 이하 정문연) 교수는 한민족 공동체를 "미래에 추고하고자 하는 일종의 비전이자 설계도"라고 정의하면서 "20세기 전후반 한국 민족주의 화두가 자주독립, 통일이었다면 21세기 화두는 한민족 공동체"라고 보았다.
정 교수는 현재 한민족 정체성은 "현지 주류 사회 일원으로 동화"와 "한인으로서 정체성 확보"라는 두 가지 과제를 안고 있으며, "한민족 문화 공동체는 거주지 국적 문화배경이 다양하다는 것을 고려해 다국적 상황을 끌어들이는 모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공동체 만드는 방법에 대해 정 교수는 "민족교육, 경제적 공동이익과 권익보호 같은 다양한 유인책, 문화적 자긍심 유도, 인터넷 활용, 민족의식과 상징 정비" 등을 들었다. 이중 민족 상징성 정비에 대해서 정 교수는 "단군의 자손 단일민족 관념은 장구한 민족사에서 물려받은 버릴 수 없는 유산"이라며 "단군 자손으로서의 상징을 정비해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공동체 성패는 "구성원의 민족 정체성의 강도와 질"이 좌우하며, 한민족 성원이 공유할 민족 정체성 내용을 채우는 작업으로 '한민족공동체학' 정립이 필요하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분야의 학제적 공동 연구가 필요"하다 제시했다.

진희관, "일본 귀화 동포 위치도 고려해야"
토론을 맡은 진희관 교수(동국대)는 "북한 핵 문제에 대한 국내 반응은 과연 누구를 대변하는지 의심스럽다"면서 나라밖 한민족뿐 아니라 국내의 한민족 정체성의 점검 필요성을 제기했다. 또한 "스스로 공동체 의식을 포기한 일본 국적 귀화 동포와 같은 사람을 어디에 위치시킬지 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제기했다. 여타 나라의 경우 귀화해 그 나라 시민권자가 되어도 한민족(동포)으로 포함하고 있으나, 일본 국적으로 귀화한 동포만은 동포 통계에서 제외되어 있는 현실을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이종훈 국회 연구관
"한민족공동체 형성 방향으로 동포정책 세워야"-「한민족 공동체와 한국 정부의 역할」을 발표한 이종훈 국회 정치담당 연구관(정치학박사)은 "외교통상부 재외동포 정책은 한민족 공동체 형성이라는 적극적 접근 방식과 거리가 있"을 뿐 아니라, 한민족공동체 형성을 "너무 민족주의 적으로 보는 것이 외교통상부의 시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민간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제기돼온 한민족공동체에 정부가 좀더 호의적으로 접근한다면 그 과정이 훨씬 더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방어적 민족주의는 여전히 필요"- 민족공동체는 시대착오적이므로 지구촌 공동체를 지향해야 하는 시점이라는 주장에 대해 이 연구관은 "방어적 민족주의 측면에서 국가-민족주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 연구관은 "국제 정치의 주된 행위자는 여전히 국가와 민족공동체이다. 세계화가 국가-민족간 불평등과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국가와 민족은 생존 차원에서 방어적 의미의 국가주의나 민족주의를 강조할 수밖에 없다"며 "한민족 공동체론도 방어적 민족주의의 한 표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중심, 다원주의 지향해야"- 한민족 공동체 방향은 "정치 공동체가 아닌 문화-경제적 공동체 양상이 바람직한 형태"라고 주장했다. 공동체의 형태는 '앵글로 색슨이나 게르만 민족 같은 다국가 다국적 민족공동체'의 특징을 지닐 것이며, 특히 "남북이란 2국가 다국적 민족공동체'라는 세계에서 특수한 공동체가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공동체가 가져야할 지향점으로 여러 제안을 한 이 연구관은 각지역 동포 각자가 중심인 '다중심', 문화적 특성과 고유성 인정하는 '다원주의' 를 가장  핵심으로 꼽았다. 지금까지 한민족 공동체 형성 논의는 "다분히 한국 중심의 동질성 추구 경향이 나타났다."고 반성한 이 연구관은 "앞으로는 대한민국 중심의 단일 공동체로부터 벗어나 평등한 다중심, 다원 공동체를 지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관은 공동체 형성을 위한 이념 창출과 관련해 "단군 사상을 특정 종파의 사상으로 간주하여 견제하는 사회 분위기가 있어 쉽지 않다."면서 새로운 형태의 미래 지향적 이념의 등장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체 이끌 주체는 누구?"- 이 연구관은 한민족 공동체 형성의 접근법은 지금까지 '정서'에 비중을 두었다면 이제는 '이해관계'에 더 비중을 두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공동체 형성의 주도적 역할도 변해야 한다고 했다. 이 연구관은 "지금까지 대한민국이 하는 걸 전제해 해왔으나 이는 남북 갈등을 증폭하는 변수가 될 수 있으므로 남북에서 중립적 성격을 갖은 해외동포 각 지역 사회 대표로 이루어진 단체가 추진하는 형태"를 제안했다.
또한 이 연구관은 재외동포 정책은 대한민국이 국가이익과 국가 전략에 기초하므로  반드시 재외동포 사회 이익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럴 경우 재외동포 국익보다는 한민족공동체 형성촉진의 방향으로 가야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진희관, "정치공동체 오히려 강화 필요"
토론자로 나선 진희관 교수는 이종훈 연구관이 정치적 한민족 공동체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 진 교수는 "민족공동체는 정치적인 개념을 떠나 유지할 수 없다. 한반도 이익과 평화를 위해 동포가 이익집단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오히려 정치공동체로 강화해야 한다"고 이의를 제기했다.

전봉근, "동포 문제, 국내 지지자 만들어야"
토론자로 나선 전봉근 교수는 재외동포 정책에서 국내 지지자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외교통상부와 법무부가 재외동포정책 반대하는 이유는 국내동포가 싫어한다는 식인데, 국내에 지지계층을 만들어야 국민들이 이를 보편적으로 인식하고 분출함으로써 정책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전택수, "경제네트워크, 모국 중심 탈피해야"
전택수 정문연 교수는 「지구촌 한민족 경제공동체 설립의 이상과 현실」에서 '한민족경제공동체 대회'나 '한상대회' 같은 경제적 목적의 네트워크를 만드는 움직임을 점검하면서 "위법자와 관료 중심이 아닌 수혜자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올해 서울에서 열린 7차 해외한민족 경제공동체 대회 목적을 보면 '…모국의 경제 부흥에 이바지하고자 한다'는 것이 중심 내용이며, 이는 해외 한민족이 조국의 발전을 위해 보조적 역할"을 의미한다는 것으로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는 "국내외 한인들이 세계 어디서나 꼭 필요한 존재로 대우받도록 하는 것을 주요 이념으로 삼아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해외 한인 후예들이 모국의 발전을 위하고 모국을 중심으로 뭉쳐야한다는 모국 중심 사고에서 탈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