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의 재외동포 바로 알기
상태바
시민사회의 재외동포 바로 알기
  • 손동주 KIN 집행위원
  • 승인 2006.10.18 0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kfkd-han@hanmail.net

재외동포 700만의 시대. 2006년 10월 현재 남한의 인구가 4,850만을 넘어서고 있고 북한의 인구가 2,300만 정도라고 하니 지구상에 한민족의 수치는 어림잡아 7,800만에 이르고 있는 셈이다. 북한의 인구가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있고, 재외동포 수치의 불확실성을 감안한다고 해도 한민족 100명 중 9명은 남과 북 어디를 모국으로 느끼던 관계없이 타국 땅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700만 재외동포가 모두 꼭 같진 않겠지만 대다수 동포들은 현지 사회에서의 성공적인 적응과 함께, 우리말과 역사를 바탕으로 한 자기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일본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서 동포들 스스로의 힘으로 일구어 낸 민족교육의 현장을 들여다보면 그들이 각자의 사회에서 얼마만큼의 고난을 겪어 왔는지, 그리고 왜 우리말과 우리 전통문화에 그렇게 목말라 하는지 피부로 느낄 수가 있다.

한국사회 역시 그렇지만 기성사회에 편입되는 이주자들은 구조적이고 명백한 차별이 아니더라도 ‘다르다’라는 이질감에서 오는 낯선 시선으로도 충분히 차별을 경험하게 된다. 그 속에서 특히 2세, 3세에 이르게 되면 ‘나는 누구인가?’라는 뿌리를 향한 원초적 질문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재외동포들의 뿌리 찾기는 자신들에 대한 모국의 관심과 지원에 의해서 완성될 수 있다. 그 관심과 지원은 재외동포가 어떤 사람들인지 제대로 알고 난 후에야 올바른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재외동포들이 어떤 역사를 갖고 이국(異國)에 이주하게 되었는지, 정착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들을 겪었는지, 또 현재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지를 알지 못한다면 재외동포의 존재는 그저 추상적인 개념의 ‘떨어져 사는 우리 민족’에 불과할 것이다.

식민지에서 해방된 이후 구성된 어떤 정부도 재외동포의 역사성과 모국의 책임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재외동포들을 정략적으로 필요한 동포와 필요 없는 동포로 이분(二分)하고 대다수 재외동포들을 외면하는 이른바 기민정책(棄民政策)은 60여 년이 지나도록 큰 틀의 변화가 없는 실정이다. 정부의 정책이 그렇다보니 시민사회의 인식도 낙후할 수밖에 없었다.

이제는 오히려 정부의 변화보다 시민사회의 인식 전환이 더욱 절실한 시기로도 보인다.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일반 시민사회가 재외동포의 역사와 현실에 대해 공감함으로써 그 힘, 모국의 동포들과 재외동포들이 함께 내는 목소리로 정부의 올바른 재외동포정책을 이끌어 내야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이 시민사회의 ‘재외동포 바로 알기’이다.
그런 중에 재외동포를 바로 알기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오는 20일부터 27일까지 민간 주도의 소중한 행사들이 잇달아 열리게 된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우선 20일부터 27일까지 해방 후부터 현재까지 일본, 독일, 남미 등 현지에서 우리말과 우리문화를 가르치는 교육 현장의 기록사진들을 만날 수 있는 ‘재외동포 60년’ 사진전이 경동갤러리와 국회의원회관 등지에서 열리게 된다.

또 20일부터 22일까지는 ‘제2회 재외동포영화제 서울’이 서울아트시네마 극장에서 개최된다. 재외동포영화제에서는 재외동포 감독들의 작품과 재외동포의 삶과 역사를 다른 다양한 영화들이 선보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24일부터 27일까지 ‘제3회 재외동포NGO대회’가 “풀뿌리 현장에서 재외동포-이주노동자의 역사와 인권을 찾다”라는 부제로 피정의집과 안산시, 국회 등에서 진행된다.

특히 재외동포NGO대회에서는 <긴급보고> 형식으로 현지 재외동포사회의 당면 문제에 대한 재외동포의 호소가 있을 예정이다. 일주일 정도의 짧은 시간으로 재외동포를 모두 알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하지만 재외동포의 존재에 대해 새롭게 알아가는 시작의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