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보훈외교 잠재력 크다
상태바
[칼럼] 보훈외교 잠재력 크다
  • 이종성
  • 승인 2006.05.1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종정

국가보훈처 정책홍보관리실장
영국 옥스퍼드 사전에서는 외교를 ‘교섭에 의한 국제관계의 처리이자 대사·공사 등에 의하여 국제관계가 조정·처리되는 방법이며, 외교관의 직무 또는 기술’이라 정의하고 있다. 외교의 과제는 정책결정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결정된 정책의 수행, 즉 교섭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정책이든 교섭이든 최소한의 희생으로 최대한의 국가 이익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데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는 듯하다.

교섭대상국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다면 그보다 더 좋을 순 없겠지만 상대국의 입장에서도 최소한의 희생이나 비용으로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목표를 갖고 교섭에 임하는 만큼 이러한 결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특히 독도문제와 같이 의미가 크고 승패가 확실한 제로섬게임에서는 대상국 모두 총력전을 통해 승리를 획득하려 할 것이고, 이때 필요한 것이 자원과 정보 이외 국제사회의 지지라고 할 수 있다.

총력전인 외교전에서 교섭 상대국에 옛부터 우리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우호적 정서를 가진 집단, 이른바 친한 또는 지한 인사들이 많다면 결정적인 순간에 우리에게 백만 대군의 우군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에게는 가슴 아픈 역사의 흔적이지만 6·25전쟁에 참전한 21개국 유엔 참전 용사들은 대한민국 외교전의 엄청난 잠재적 후원군인 셈이다.

당시 21개국에서 190만 명이 참전했으며 지금도 전 세계에서 70만 명이 생존하여 한국 및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이들은 국제사회에서 우리에게 엄청난 외교적 자산인 것이다.

이들은 각각 언제든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우리의 교섭상대국이 될 수 있는 자신의 국가에서 한국에 대한 유언·무언의 지지 세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세계 최강대국인 미국의 경우 미국재향군인회, 한국전참전협회, 미국해외용사 참전협회 등 주요 단체만 7개나 되며 회원 수는 606만 명에 이른다. 한국전에 참전했던 상·하원 의원들도 10여명이 되고 한국전에 참전했거나 근무한 경험이 있는 전·현직 고위 장성들도 10여명이 넘는다.

국가보훈처가 지난 1975년부터 재향군인회를 통하거나 직접 나서 한국전 참전용사 재방한 사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피상적으로는 과거 참전국과의 단순한 국제 협력 사업으로 보일지 모르나 세계11위 무역대국이라는 위상에 비해 정치안보적 측면에서의 외교적 위상이 다소 부족한 우리에게는 매우 중요한 보훈외교의 일환이기 때문이다.

국가보훈처는 앞으로는 참전국의 국회의원 등 저명한 참전 용사들이나 후손들을 더 많이 발굴하여 이들을 친한 세력의 새로운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국제적인 현안사안에 대한 이해증진을 확대시켜 국익에 도움이 되도록 할 계획이다.

얼마 전 호주·캐나다·뉴질랜드·영국 등 영 연방 4개국의 한국전 참전용사 196명이 재향군인회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한 것을 비롯해 지금까지 참전용사 3만 여명이 한국을 다녀갔다. 또한 해외 한국전 참전 기념행사에 참가하거나 이들의 기념시설 건립도 적극 지원하고 유대 관계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등도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보훈외교의 위력은 겉으로 잘 드러나지도, 단기에 효과를 내기도 어렵다. 그러나 다른 국가들이 갖지 못한 무형의 외교적 자산인 만큼 갈수록 치열해지는 국제 외교전에서 큰 역할을 하리라고 믿고 있다.

특히 올해는 국민들이 국가보훈의 중요성을 보훈 외교를 통해서도 다시 한번 절실하게 되새기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아울러 보훈외교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지원을 통해 국가보훈이 국민통합의 정신적인 인프라로서의 명실상부한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해 본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