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글박물관서 ‘내방가사’ 기획전
상태바
국립한글박물관서 ‘내방가사’ 기획전
  • 이현수 기자
  • 승인 2021.12.24 15: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성이 남긴 한글 기록인 ‘내방가사’ 최초 전시…내년 4월 10일까지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창작·계승되고 있는 여성 가사문학인 내방가사를 대상으로 한 기획전시 '이내말삼 드러보소, 내방가사'가 내년 4월 10일까지 국립한글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개최된다. 전시 포스터 (사진 국립한글박물관)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창작·계승되고 있는 여성 가사문학인 내방가사를 대상으로 한 기획전시 '이내말삼 드러보소, 내방가사'가 내년 4월 10일까지 국립한글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개최된다. 전시 포스터 (사진 국립한글박물관)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창작·계승되고 있는 여성 가사문학인 내방가사를 대상으로 한 기획전시 <이내말삼 드러보소, 내방가사>가 내년 4월 10일까지 국립한글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개최된다.  

내방가사는 조선시대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한 여성들이 한글로 스스로를 표현하고 자신이 살고 있는 삶과 시대를 적극적으로 기록한 문학이다. 그간 조선시대 여성의 문화를 다루는 전시에서 내방가사가 간헐적으로 선보여진 적은 있지만, 여성이 남긴 한글 기록이라는 점을 앞세워 가사의 노랫말을 본격적으로 다룬 전시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전시는 1794년 창작된 <쌍벽가>부터 21세기에도 여전히 창작되고 있는 90여편의 내방가사와 더불어, 각종 여성 생활사 유물, 여성 잡지, 여성 교과서 등 총 172건 260점의 자료를 선보인다. 

전시장은 1부 ‘내방 안에서’, 2부 ‘세상 밖으로’, 3부 ‘소망을 담아’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펼쳐지는 여성들의 희로애락을 다룬다. 조선시대 어머니의 아들자랑, 성공한 여성들의 이야기, 시누이-올케의 갈등 등 다양한 내방가사를 만날 수 있다. 

2부 ‘세상 밖으로’에서는 근대와 식민지라는 격동의 시대에 직면한 여성들의 삶과 생각을 마주할 수 있다. 남녀평등과 학교교육을 주장하는 <해방가>, <위모사>와 조선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여성들의 역사교육 교과서였던 수종의 <한양가>를 볼 수 있다. 

3부는 가족이 잘되길 기원하는 여성의 마음과, 오늘날에도 변함없이 창작되고 있는 내방가사를 소개한다. 지금도 내방가사 창작과 향유를 이어가는 내방가사 작가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가사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와 작품 해설을 들을 수 있다.  
 

헌수가 (사진 국립한글박물관)
현존하는 가장 긴 길이(14m)의 내방가사인 '헌수가' (사진 국립한글박물관)
잊지못할 내딸이라 (사진 국립한글박물관)
이번 전시에서 최초 공개되는 '잊지 못할 내 딸이라' (사진 국립한글박물관)

이번 전시에서는 현존하는 가장 긴 길이(14m)의 내방가사 <헌수가>를 비롯해 최초로 공개하는 12편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내방가사에서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남성을 화자로 한 계녀가 <계녀통론>과 함께, 변형된 계녀가인 <모녀 서로 이별하기 애석한 노래라>, 먼저 죽은 딸에 대한 그리움을 적은 <잊지 못할 내 딸이라> 등 문학성이 풍부한 가사들이 포함돼 있다. 

아울러 네 번 결혼하고 불에 덴 아이를 홀로 키우는 덴동어미의 비극적 삶을 그린 <뎬동어미화전가>는 화전놀이에서 뎬동어미를 비롯한 여성들이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고 이해하는 연대감을 묘사한 내방가사의 백미로, 전시실에서 화사한 벽면 영상과 함께 감상할 수 있다.

한편, 이번 전시를 공동 주최한 국립한글박물관과 한국국학진흥원은 내방가사의 기록유산적 가치에 주목해 2019년부터 내방가사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시키기 위해 협력 중이다. 내방가사 전승은 낭독과 필사라는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 여성문화의 중요한 단면을 보여주는 기록물로 남성중심 사회에서 여성이 한글을 활용해 자신의 삶과 애환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다. 

전시 개막과 함께 두 기관은 기획전시 연계 학술대회를 공동으로 개최한다. 온라인으로 열리는 학술대회에서는 <내방가사의 연구방향과 기록문학적 가치>를 기조 강연으로 해 6명의 전공 학자들이 노처녀가, 만주망명가사, 근현대 여성가사 등을 조명하고 최초로 공개되는 <원별여사향가>에 대한 새로운 연구도 발표될 예정이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