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 간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전략’ 공유 웹세미나
상태바
한독 간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전략’ 공유 웹세미나
  • 김복녀 재외기자
  • 승인 2021.05.31 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함부르크한국총영사관,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 함부르크독한협회, 동아시아협회 공동 주최
주함부르크한국총영사관과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 함부르크 독한협회 그리고 동아시아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전략’을 주제로 한 웹세미나가 5월 28일 오후 1시부터(독일시간) 1시간 반 동안 개최됐다. (사진 김복녀 재외기자)
주함부르크한국총영사관과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 함부르크 독한협회 그리고 동아시아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전략’을 주제로 한 웹세미나가 5월 28일 오후 1시부터(독일시간) 1시간 반 동안 개최됐다. (사진 김복녀 재외기자)

주함부르크한국총영사관(총영사 정기홍)과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FNS), 함부르크독한협회(회장 게어하드 티데만) 그리고 동아시아협회(OAV)가 공동 주최하는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전략’을 주제로 한 웹세미나가 5월 28일 오후 1시부터(독일시간) 1시간 반 동안 개최됐다. 

화상회의 플랫폼 줌을 통해 열린 이날 웹세미나는 크리스티안 타악스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 서울사무소장과 장영선 고신대 의대 교수의 주제 발표 후, 패널 토론이 이어졌으며, 한국과 독일에서 180여명이 온라인으로 세미나를 지켜봤다.  

세미나에 앞서 정기홍 주함부르크총영사는 환영사를 통해 “코로나 위기를 통해서 몇 가지 교훈을 얻게 됐다. 사회전체를 위해서는 개인의 자유가 제한될 수도 있다는 점과 국가의 역할이 중요해졌으며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는 문제와 사회 전체 건강을 보호해야 하는 문제 간에 어떻게 균형을 지킬 수 있는지에 고민하게 됐다”고 했다.  

이어 “코로나 팬데믹은 사회 계층 간의 불균형을 더욱 강화시켰을 뿐 아니라 백신 공급이 보여준 것처럼 국가 간의 불균형도 여실하게 드러나게 됐다. 하지만 코로나 위기 앞에서 어느 나라도 안전한 나라가 없다는 사실을 통해 국제사회는 공조하고 의견을 교환하고 서로 지원해야 함을 배우게 됐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독일은 코로나 초기부터 정부 차원에서 긴밀한 협력이 이뤄졌는데 이번 웹세미나가 민간차원의 협력과 의견 교환이 이뤄지는데 일조할 수 있길 희망한다”는 바람을 밝혔다. 

게어하드 티데만 함부르크 독한협회장은 격려사에서 “한독 양국은 최고의 하이테크 산업 경쟁력을 자랑하는 공통점이 있는 나라이자 코로나 극복에 있어서 상호협력 하는 동반자”라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독일사회가 궁금했던 한국의 코로나 대응 성공 비결은 무엇인지, 코로나에 대처하기 위해 한국의 정치와 사회는 어떤 전략을 개발했는지, 독일은 한국 성공사례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서 크리스티안 타악스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 서울소장이 ‘한국의 코로나19 상황 개관’을 주제로 발제했다. 그는 서울에 살면서 개인적으로 체험한 것과 다양한 데이터를 기초로  한국 정부의 코로나 위기 대응책을 소개했다. 

타악스 소장은 한국 정부의 코로나 대응을 3T(Test-Trace-Treat)로 요약했는데, 무엇보다 정부의 신속한 대응과 시민들에게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한 점, 그리고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높이 평가했다. 

특히 한국의 하이테크를 이용한 신속한 정보 분석 및 전달, 각 위기 단계마다 투명하게 규정된 매뉴얼에 따라 일이 처리되는 것을 보며 매우 놀랐다고 했다.

한국 고신대학교 건강관리 및 디지털 건강학부 객원교수로 재직 중인 장영선 박사는 한국의 의료시스템과 한국의 코로나 위기 대응 방식 중에서 독일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소개했다.

장 박사는 한국이 코로나 위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 2015년 메르스 위기에서 배운 교훈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당시 시민들은 바이러스 전염 경로를 알 수 없어 불안해했고 이러한 경험으로 인해 사회 전체의 건강을 위해서는 개인 정보가 희생될 수도 있다는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됐던 것 같다고 했다. 메르스 위기 시 병원에서 감염됐던 것을 거울삼아 코로나 위기 상황에서 코로나 전담병원을 지정함으로써 일반 의료 시스템은 정상으로 작동될 수 있었다고 했다. 

또 2018년 3월 진단키트에 대한 허가 절차가 신속하게 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했는데 이로 인해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키트가 신속하게 시민들에게 활용될 수 있었다고 했다. 또 질병본부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확진자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었던 점과 다양한 정부기관과 질병본부의 긴밀한 협력과 투명한 대응을 소개했다.

장 박사의 발표 후에는 의료 보건 전문 언론인 브리깃 어구스틴 씨의 사회로 패널토론이 있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