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동포언론 지원 정부가 나서야
상태바
[칼럼]동포언론 지원 정부가 나서야
  • 김제완기자
  • 승인 2005.01.11 00:00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포사회가 있는 곳에는 늘 동포신문이 있다. 바늘과 실의 관계와 비교할 만하다. 언어공동체 단위로 모여있는 이민사회에서 동포신문은 한인회와 함께 동포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방송사까지 포함하면 전세계의 동포언론사 숫자는 무려 430개에 이른다.

   
▲ 김제완
동포언론은 치열한 시장경쟁 시스템속에 놓여있다. 미국 아틀란타의 경우 지난 한해동안 16개 신문중에 무려 6개가 문을 닫았다고 한다. 동포신문의 불안정은 곧바로 동포사회의 불안정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좌시할 일이 아니다.

지난해 국내에서는 약 300개의 지역언론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이 제정됐고 사업예산으로 200억원이 책정됐다. 지금은 이 돈을 어떻게 배분하느냐를 규정하는 시행령 조정을 남겨놓고 있다. 이제는 400여개의 동포언론에도 눈길을 돌려야 할 때가 왔다. 국내외 풀뿌리 언론사 700여개가 네트워크로 묶여지면 한민족의 큰 재산이 될 것이다.

동포신문은 현지국가에 등록돼 있고 현지국가에 세금도 내고 있는데 왜 한국정부가 지원해야 하는가 라는 의견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인 사회에 대해 한국인 기자가 한국어로 기사를 쓴다는 점에서 온전히 한국 문화권에 포함돼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최근 서구에서는 언어전쟁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과거에는 종교문화권 단위의 대립과 갈등을 보였다면 이제는 언어공동체 단위로 구별되고 대립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400여개의 동포언론은 불가피하게 언어전쟁의 최전선에 서있다. 이제 국내에서 실탄을 공급해줘야 한다.

동포언론의 경제적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태생 조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동포신문의 맹아를 볼수 있는 몇개 도시의 사례를 살펴보자. 브뤼셀 제네바와 같이 인구가 1천명 안팍인 지역에는 신문이 자리잡을 수가 없다. 이런 곳에서는 한인회 기관지가 그 역할을 담당한다.

인구 3천명은 신문이 나타나는 분기점이다. 몇해전 3천명의 동포가 사는 몬트리올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이곳 한인사회에는 여행사가 두개, 한국식당이 다섯개 그리고 미장원과 이삿짐센터도 눈에 띄였다. 이들 업소들은 광고의 필요성때문에 전단지를 만들어 영사관이나 은행등 한국인이 자주 찾는 곳에 배포한다. 이뿐 아니다.

동포들에게 각종 공지사항을 알려야 하는 영사관에서는 영사회보를 만들어 창구에 비치해 놓는다. 전단지와 영사회보는 신문에 필요한 광고와 기사를 공급해주어 언론이 자리잡을 기초토양이 된다. 처음에는 소식지나 광고지 형태이지만 여러개가 생기면 서로 경쟁하면서 점차 신문의 모양을 갖춰나간다.

동포사회의 인구 3만명은 매우 중요한 숫자이다. 이 숫자는 자족적이고 독립적인 공동체가 되는 최소단위이다. 동포사회 구성원들이 서로 수요와 공급을 주고받게 되므로 한인이 경영하는 산부인과부터 장의사까지 들어서기 시작한다. 이때는 신문도 일간지가 나타나고 누군가 라디오방송을 준비한다. 밴쿠버와 오클랜드가 이같은 경우에 해당한다.

선진국에서는 언론의 자유가 보장돼 있어 법적으로 신문 방송의 발행 설립이 자유롭다. 누구든지 신문 시장에 뛰어들고 사라지곤 해서 시장이 혼란스럽다. 이때문에 미주지역에서는 평균 3년마다 발행인이 바뀌는 현상도 나타난다.

신문사 발행인이라는 사회적 영향력을 기대해서 경험없는 사람들이 신문업계에 뛰어들지만 1년이 지나면서 수지를 맞추기 어렵고 많은 일손이 드는 이 업종의 특수성에 손을 들고 만다. 결국 2년이 지나면서 매수자를 찾게 되고 발행인이 바뀌는 것이다.

이렇게 지난한 과정을 통해서 탄생한 전세계 400여개의 동포언론사들이 지금은 국내 대학의 신문방송학 교수들에게 연구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동포언론이 그동안 자력으로 시장 속에서 성장해왔으나 이제는 한국 정부와 사회가 관심을 가지고 우리의 재산으로 만들 때가 왔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