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순우리말 한글 이름을 소개합니다”
상태바
“아름다운 순우리말 한글 이름을 소개합니다”
  • 이현수 기자
  • 승인 2020.07.08 11: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한글박물관, ‘순우리말 한글 이름 찾기’ 온라인 행사 참여작 중 40개 선정해 전시

순우리말 이름을 작명 및 사전적 의미와 함께 의미와 어울리는 서체로 표현 
국립한글박물관은 제623돌 세종대왕탄신일을 맞아 진행했던 ‘순우리말 한글 이름 찾기’ 행사 결과 선정된 순우리말 한글 이름 40개를 박물관 2층 출입구에 올해 연말까지 전시해 소개한다. (사진 국립한글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은 제623돌 세종대왕탄신일을 맞아 진행했던 ‘순우리말 한글 이름 찾기’ 행사 결과 선정된 순우리말 한글 이름 40개를 박물관 2층 출입구에 올해 연말까지 전시해 소개한다. (사진 국립한글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관장 심동섭)은 제623돌 세종대왕탄신일(5월 15일)을 맞아 진행했던 ‘순우리말 한글 이름 찾기’ 행사 결과 선정된 순우리말 한글 이름 40개를 박물관 2층 출입구에 올해 연말까지 전시해 소개한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온라인으로 접수된 이름 700개 중에서 흔하지 않고 아름다운 뜻을 담은 순우리말 한글이름 40개를 선정했다.

선정된 이름 중에는 박결(결이 고운 아이), 한누리(세상을 다 얻게 해준 아이, 큰 세상을 누리며 사는 아이), 동꽃잎(꽃처럼 예쁜 아이), 이단비(꼭 필요할 때 알맞은 아이), 안생글(웃으며 사는 아이), 나해랑(해랑 늘 같이하는 밝은 아이), 피우리(꽃피우듯 멋진 인생을 피우는 아이) 등 순우리말로 의미를 바로 이해할 수 있는 이름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또한 이아름·다운·셋별(별같이 아름다운 세 자매), 이우리·나라(사람과 더불어 사는 ‘우리’와 이 나라 으뜸이 되는 동생 ‘나라’가 어우러져 사이좋게 지내는 ‘우리나라’ 자매), 신슬기·로운(슬기로운 삶을 사는 남매) 등 형제의 이름을 하나의 순우리말로 표현한 이름들도 있다.  

이번 전시는 선정된 40개의 이름, 작명 의미, 사전적 의미를 함께 게시해 아름다운 순우리말을 이름을 소개한다. 이름이 담고 있는 의미와 어울리는 느낌의 서체(폰트)를 사용한 것에 초점을 두고 관람하면 더 흥미로울 수 있다. 

심동섭 국립한글박물관장은 “한글박물관으로서 의미 있는 순우리말 한글 이름 전시와 함께 앞으로도 아름다운 순우리말이 실생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어지기를 바란다”며, “현재 국립한글박물관은 코로나19로 인해 휴관 상태이지만, 재개관이 된다면 언제라도 바로 관람객을 맞이할 수 있도록 매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