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러시아와 세계 원전분야 공급망 협력 나서
상태바
정부, 러시아와 세계 원전분야 공급망 협력 나서
  • 서정필 기자
  • 승인 2019.12.13 11: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관합동 무역사절단, 2박 3일 일정 모스크바 방문

산업부-로사톰 고위급협의와 한러 공동 원전협력 세미나 등 개최
산업통상자원부와 원전분야 공기업 및 19개 중소․중견기업,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가 함께한 원전수출 무역사절단이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 간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했다.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와 원전분야 공기업 및 19개 중소․중견기업,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가 함께한 원전수출 무역사절단이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 간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했다. 11일 저녁 열린 한러원전협력세미나 단체사진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이하 산업부)와 원전분야 공기업 및 19개 중소․중견기업,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KNA)가 함께한 원전수출 무역사절단이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했다.

이번 사절단 방문은 지난 9월 ‘원전수출전략협의회’ 에서 산업부가 발표한 ‘원전 전주기 수출활성화 방안’의 후속조치로 추진됐다. 이번 러시아 방문 사절단은 체코, 폴란드에 이은 동유럽-러시아지역 세 번째 무역사절단이다.

사절단은 이번 방문 기간 중, 러시아 원전사업을 총괄하는 국영기업 로사톰과 고위급 협의를 가졌으며, 산업부와 로사톰이 공동주관하고 양국에서 60여 원전기업이 공동 주관하고 150명이 참석한 ‘한-러 원전협력 세미나’ 및 ‘한-러 원전협력의 밤’도 개최했다.

11일 개최된 신희동 산업부 원전산업정책관과 키릴 로마노프(Kirill Komarov) 로사톰 수석부회장간 고위급 협의에서 양측은 ▲수출정책 상호 공유 및 각종 해외사업 협력방안 ▲이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방안 ▲연료 및 후행주기 협력 등을 논의했다.

이날 신 정책관은 업계간 실질적 협력 논의를 위해 민관이 모두 참여하는 정례적인 협력기회 또는 협력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으며, 양측은 이를 위한 실무협의를 진행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같은 날 개최된, ‘한러 원전협력 세미나’와 ‘한러 원전 협력의 밤’에는, 신희동 정책관, 보리스 아르시프(Boris Arseev) 로사톰 해외사업개발 실장, 이석배 주러시아 대사 등 주요 참석인사와 한․러 기업 60여개사가 참석해 기업간 협력에 대한 양국 정부 및 산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보여줬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원전분야 공기업 및 19개 중소․중견기업,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가 함께한 원전수출 무역사절단이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 간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했다.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와 원전분야 공기업 및 19개 중소․중견기업,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가 함께한 원전수출 무역사절단이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 간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했다. 한-러 원전협력의 밤에서 축사하는 신희동 산업부 원전산업정책관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신희동 정책관은 원전 협력의 밤 축사에서 “대규모 해외원전 사업을 진행중인 러시아에게 탄탄한 공급망과 유럽․미국 설계인증이 대변하는 안전성․기술력을 가진 한국 원전산업계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한국 원전업계의 러시아 해외사업 공급망 참여와 나아가 양국 업계간 글로벌 공급망(밸류체인) 연계를 통해 양국 산업경쟁력 강화에 적극 나서 달라”고 당부했다.

세미나에서는 ▲양국 수출정책 상호 소개 ▲러시아 조달체계및 참가기업, 제품, 기술 설명 등 공급망 연계를 위한 정보교류와 관련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아울러 세미나에 참여한 양국 기업간 100여건 이상의 사업협력 상담(B2B)도 실시됐다.

또한 양국 기업 간, 원전수출협회-러시아 상공회의소간 협력 양해각서 2건을 체결하는 등 향후 협력을 위한 기반도 대폭 강화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사절단이 일회성이 아닌 원전 전주기 수출활성화 방안의 후속조치로서 기획․실시된 만큼, 러시아와 건설․운영 분야 공급망 연계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산업부는 양국간 사업협력 세미나 및 사절단을 2020년부터 정례화함으로써, 장기적 관점에서 협력기반을 구축하는 한편, 정례적인 민관합동 협의채널의 조기 안착을 위해서도 적극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