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입양인 문제동포사회가 나서야
상태바
[사설] 입양인 문제동포사회가 나서야
  • 재외동포신문
  • 승인 2004.08.2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 14개국에서 430여명의 입양아들이 참석한 ‘2004 세계한인입양인대회'가 이달초 서울서 열렸다. 국내에서는 각종 언론에서 열띤 취재 경쟁을 벌이며 큰 관심을 보였다.
올해는 우리나라의 해외 입양이 시작된 지 50주년이 되는 해이다. 1954년 당시 정부가 보육원 동의 없이도 해외 입양을 할 수 있도록 '고아·양자 특별조치법'을 만들며 시작된 해외입양은 '고아수출국'이라는 오명을 쓸 만큼 활발히 진행돼 왔다. 보건복지부 집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한국을 떠난 해외 입양아 수는 총 15만 2천7백86명. 하지만 비 공식적으로 입양된 아이들 수까지 합치면 20만명에 가깝다는 것이 정설이다.
해외입양은 70년대부터 대폭 증가 했다가 90년대 들며 다소 감소되는 추세를 보였지만, 줄어들었다 해도 그 수는 결코 적지 않다. 지난 3년간 한해에 해외로 보내진 아이들의 수는 평균 2천3백여명으로 이는 중국, 러시아, 과테말라에 이어 '세계 4위'의 수치이다. 해외 입양을 꼭 나라의 경제규모와 비교 할 수는 없지만 세계 10권 내외에 드는 한국의 경제규모와 비교 할 때 어울리지 않는 수치임에는 분명하다.
제 나라의 아이를 자국이 보호하고 양육하지 못하고 해외로 보낸다는 것, 결코 자랑할 일은 못된다. 또 해외로 입양된 우리의 혈육을 나몰라라 한다는 것은 더더욱 부끄러운 일일 터 이다. 입양인 관련 단체 통계에 따르면 해외로 입양되는 아이들 중 성공적으로 정착하는 사례는 30%에 불과하다고 한다. 나머지 많은 이들이 눈, 머리색 등 모든 것이 다른 외국인들 사이에서 차별받으며 자신의 정체성 찾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어려움 속에서 일부 입양인들은 조국인 한국에 대해 적대감을 가지고 입양 반대 운동을 펴고 있기도 하다는 소식이다. 그만큼 아이들의 해외 입양 후 정부를 비롯한 많은 이들의 적극적인 사후 지원이 절실하다는 얘기다.
특히 전 세계 곳곳에 형성돼 있는 재외동포 사회는 자신들의 정착에 바빠 아직까지 입양인들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지 못했지만 앞으로는 누구보다 앞장서 이들을 돌아보는 민족애 인간애를 보여야 할 것이다. 커뮤니티 속에 입양인 들을 적극 참여시켜 인적 자원으로 삼고 함께 발전을 도모해 나가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 됐다 하겠다. 나아가 입양인 뿐 아니라 우리로서는 고마운 사람들인 그들의 부모들도  모두 한인커뮤니티 속으로 끌어들여 함께 어울리는 적극적인 포용과 화합의 지혜가 필요하다.
해외 입양 50주년을 맞아 말로만 떠드는 애국과 민족애가 아닌 몸으로 실천하는 그것을 지구촌 동포들의 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게 되기를 기대 한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