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부리 겨누던 동서독, 저녁 8시만 되면….”
상태바
“총부리 겨누던 동서독, 저녁 8시만 되면….”
  • 재외동포신문
  • 승인 2015.03.07 23: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서 열린 ‘통일준비를 위한 재독 동포 초청토론회’서 새삼 화제


  “냉전시대에도 저녁 8시만되면 동독과 서독은 통일 상태였습니다.”

  동독과 서독이 서슬퍼런 총칼을 서로 들이대며 맞서던 냉전시대에도 저녁 8시만 되면 동독과 서독의 주민들이 똑같은 TV를 시청하며 공감대를 키웠다는 사실이 새삼 화제가 되고 있다.

▲ 4일 국회에서 열린 ‘통일준비를 위한 재독(在獨) 동포 초청토론회’에서 김용길 한국자유총연맹 독일지부장이 발제하고 있다.
  김용길 한국자유총연맹 독일지부장은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5간담회의실서 열린 ‘통일준비를 위한 재독(在獨) 동포 초청토론회’에서 ‘남북 통일을 앞당기기 위한 요소’로 구서독 TV방송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독일 통일 25주년과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열린  이날 토론회에 발제자로 나선 김 지부장은 “구동독의 붕괴는 구서독 TV가 구동독의 전 지역에서 방송된 것이 큰 역할을 했다”고 언급, 토론회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그는 “구서독과 구동독은 베를린 장벽을 두고 둘로 나뉘어져 있었다”면서 “저녁 8시가 넘으면 구동서독이 통일된다고 할 정도로 구동독 주민들은 구서독 TV를 시청하며 공감대를 키워 왔다”고 밝혔다.

  또한 “(TV 시청을 통해)구동독 주민들은 구서독의 실상을 보고 느끼며 인권과 자유에 대한 중요성을 몸소 깨닫고, 판단력을 갖게 돼 통일을 위한 디딤돌을 마련했다”며 “북한 주민에게 외부세계의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현재 북한 당국의 정보 차단으로 북한 주민의 의사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용길 지부장은 “북한의 현실이 북한 주민에게 알려지게 되면 민주화와 시장경제의 중요성, 북한체제의 불합리성 등에 대한 북한 주민의 판단력이 제고되고 북한 주민의 의사가 빠른 시간 내에 바뀔 수 있을 것”이라며 동서독의 사례를 남북한이 교훈 삼을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그의 이 같은 발언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신년 인터뷰와도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한국의 드라마와 영화가 암암리에 밀거래 되고 있는 북한의 주민들이 고립에서 벗어나 외부 세계에 눈을 돌리는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면서 북한 체제의 몰락을 가속화한다는 일각의 분석과도 궤를 같이 한다.

  오바마 대통령은 올 초 유투브와 가진 인터뷰에서 북한의 붕괴에 대해 언급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당시 오바마 대통령은 “인터넷을 통해 정보의 유통이 활발해지면 결국 북한과 같은 독재 정권은 무너질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 ‘통일준비를 위한 재독(在獨) 동포 초청토론회’가 4일 국회에서 개최됐다.
  한편 김용길 지부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독일 통일은 현재 남북이 해결해야 할 통일에 많은 교훈을 주고 있다며, △남북 간 지속적인 교류 및 협력 △북한 주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해 변화를 유도 △북한 내부의 변화를 통한 개혁과 개방을 유도 △특히 통일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강한 의지와 공감대 확산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지부장은 한국형 ‘프라이카우프(Freikauf)’ 추진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프라이카우프는 베를린 장벽 설치 이후 분단의 고통을 가장 절실하게 느꼈던 구동독 주민들을 위해 인도적 차원에서 구서독 교회 주도로 추진된 사업이다.

  1961년 베를린 장벽이 구축되자 구서독 교회는 이에 따른 문제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일환으로 구서독 교회는 구동독정치범 석방, 교계인사 석방, 이산가족 재결합 등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김 지부장은 “김대중·노무현 정부 10년 동안 추진됐던 제한적 이산상봉 행사에 몇 명을 포함시키는 방식으로는 억류가 확인된 900여 명의 납북자·국군포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며 “따라서 자국민 보호라는 국가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 송환을 조건으로 물품 또는 재정을 지원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는 ㈔한반도통일연구원과 한백통일정책연구원이 주최하고, ㈔평화통일국민포럼, ㈔선진통일건국연합, 한국안보통일연구원이 주관했다.

  편집국 기자 dongponews@hanmail.net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