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 고령화 문제 남의 일 아니다"
상태바
"재외동포 고령화 문제 남의 일 아니다"
  • 이우태 기자
  • 승인 2014.09.02 15: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 전 세계 확산 위해 독일서 1백만 서명운동 시작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회장 이효정)가 고령화로 일상생활은 물론, 노환에 따른 질병,  이주 등 자력으로는 사실상 아무것도 할 수없어  쓸쓸한 노후를 맞고 있는 재외동포 1세대들의 복지문제와 동포귀환정책수립을 위해 1백만 재외동포 서명운동에 나섰다.

이효정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 회장은 지난달 16일 재독한인총연합회(회장 유제헌)이 중부독일 카스트롭 라욱셀 유럽광장 운동장에서 개최한 제 69주년 광복절 기념식  행사장에 '1백만 재외동포 서명본부'를 설치하고  기념식에 참석한  김재신 주독일대사, 김희택총영사 등 공관장과  유제헌 독일총연회장 등 참석자 400여 명으로부터  서명을 받았다.
▲독일총연 광복절 행사에 참석한 김재신 주독일대사도 '1백만 재외동포 서명운동'취지에 공감 서명했다(서명 후 기념촬영)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는 이날 동포들의 서명을 촉구하는 호소문을 통해 "대한민국 재외동포들에게도 고령화사회가 왔다. 글로벌 한민족 공동체의 뿌리이자 어머니인 재외동포 여성들은 1백년의 이민역사 속에 가족의 안녕과 조국의 번영을 위해 온갖 어려움을 딛고 외화를 벌어 가정과 조국을 섬겨왔다"며 "세계 각지에 방치된 채 쓸쓸한 노후를 맞고 있는 동포들을 이제는 조국이 돌봐야 할 때"라고 밝혔다.  
▲이효정 회장은 "재독한인총연합회가 주최한 69주년 광복절 기념식에 참가한 동포들은 1백만 재외동포 서명운동 취지를 듣고 400여명이 흔쾌히 서명했다"고 전했다.
호소문은 이어 "오늘날 조국은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원조하는 나라, 세계 재난구호에 앞장서는 존경받는 국가, 다문화가족이 환영받는 정책 등을 펴는 자랑스런 국가, 통일을 준비하는 여유있는 국가가 됐다"며  "재외동포 여성들이 외로움과 싸우고 척박한 생활에 눈물 흘리며 살아온 만큼 그나마 남은 여생을 보낼 조국을 찾으려 하나 돌아갈 수 있는 친정도, 반겨주는 일가 친척도 남아있지 않아 다녀오기조차 어려운 남의 나라가 되어가고 있다. 치매가 오면 평생을 한 외국어 보다 태어나면서 배운 모국어만 사용한다고 한다. 이제 한국정부는 물론 세계 각국의 한인회가 나서 이들을 돌봐야 할 때이다. 우리가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1백만 재외동포 서명운동에는 부모세대 고령화 문제의 심각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재독 동포2세들이 서명에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서명에 흔쾌이 응한 동포들은 "재외동포 고령화에 대한 정부정책은 커녕 복지문제를 거론하는 이조차 아직 들어본 바 없다. 정부가 재외동포 가운데 아직 살아있는 1세대 노인들의 현황 파악이나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질타했다. 

이들은 이어 "전 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동포 1세대들 가운데 많은 분들이 노환으로 이미 사망했거나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고독사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보고 듣고 있다. 고국도 고령화 사회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재외동포사회도 예외가 아니다"라며 재외동포 1세대들의 심각한 고령화 실상을 전했다. 
이들은 또 "특히 독일의 파독 광부ㆍ간호사들은 해외산업전사로써 이곳에 나와 조국을 위해 몸과 마음을 다 바쳤는데 정작 나이들고 병에 시달려도 돌봐주는 곳이 없다"며 "조국에 돌아가려해도 늙고 병들어 누가 도와주지 않으면 움직이기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효정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 회장은 귀국 후 1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오래 전부터 동포1세대들의 어려움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이번 독일 체류 중 고령으로 어렵게 살아가고 있는 동포 1세대들과 주변사람들 얘기를 듣고 충격을 받았다"며 "이번 독일에서의 서명운동을 계기로 세계 각지에 동포들을 위한 복지시설 또는 문화시설 건립을 위해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이어 "오는 10월 4일 열릴 예정인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에서 이 문제를 정식 거론하고 한인회장대회 등 주요행사에도 찾아 다니며 동포사회 고령화에 대한 심각성을 설명하고 여론화 작업을 계속하고 정부와 국회 등 관계기관 등에도 이 문제를 적극 알려 법제화 등에도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