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121결의안', 美 의회에서 통과 되기까지
상태바
<특별기고>'121결의안', 美 의회에서 통과 되기까지
  • 김동석
  • 승인 2014.01.20 09: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이크 혼다'의원은 보석같은 존재,지지하고 성원해야"

▲김동석(미국 뉴욕 시민참여센타 상임이사)
  2차 세계대전 동안 나치 독일의 히틀러는 6백 만 명 이상의 유태인을 학살했다.

유럽전쟁이 끝나고 전 세계의 유태인들은 수개월동안 심각한 침묵을 유지했다. 살아나야하고 다시는 이렇게 참혹한 희생을 당해서는 안 되겠다는 비장한 결심이 흩어진 유태인들의 개개인의 심장에 박혀서 녹아들었다.

제일먼저 미국내 유태계들이 움직였다.

홀로코스트로 세계만방에 알려지게 된 시작이다. 
사생결단으로 정치권을 교육시키고 케이스만 있으면 결의안을 채택했다. 인권ㆍ 평화ㆍ 정의ㆍ 생명 등등의 인류 보편적 가치를 홀로코스트에 종합적으로 농축을 시켰다. 그러기에 충분했다. 히틀러의 학살이 증언될 때마다 결의안이 제출되어 채택되었다. 모든 결의안의 결론은  '엄격하게 죄를 묻고 진정으로 사죄하고 충분히 보상하고 철저하게 교육시킨다'였다.
 
결의안이 채택 되는대로 끊임없는 실천이 뒤를 이었다.
 
그것은 소위 '지구상이면 어디든지 나치전범을 추적해서(범인이 사망했다 하더라도) 색출하여 죄를 묻는다'이다.  결의안은 시작이고 실천은 과정이고 결론은 독일의 끊임없는 사죄와 보상과 반성이었다.

그래서 필자는 독일과 일본을 비교하기에 앞서서 (미국내)한국계와 유태계를 비교한다.

왜 독일은 저렇게 진정으로 사죄하고 반성하는데 일본은 그렇지 않은가..? 라고 묻기 전에 유태인들의 노력에 비해서 우리 한인들의 노력은 어떤가?에 먼저 진지해졌으면 한다.

아무리 연방의회의 ‘만장일치 결의안’ 이라 해도 그것은 그냥 결의를 한 기록일 뿐이다. 누군가가 그 결의 내용을 갖고서 행동하지 않으면 한낱 종이쪽지에 불과할 뿐이다. 연방의회에서는 하루에도 십 수건씩의 이런저런 결의안이 채택된다. 대개가 그냥 시간 속에 묻히고 만다.
 
2007년 연방의회에서  ‘일본군강제종군위안부결의안’이 만장일치로 채택 되었다.

워싱턴서 일본을 어떻게 이겼는가?란 것 때문에 세상의 뉴스거리가 되었다. 결의안을 주도한 ‘마이크 혼다’의원은 “ 결의안은 결의다. 이정도론 일본이 꿈적도 않을 거다. 실천이 또한 우리 몫이다 ”라고 각별하게 주의를 환기시켰다. 그래서 결의안은 다시 한인커뮤니티로 이어졌다. 기림비로, 홀로코스트로, 소녀상으로 등등이 바로 결의안 실천이다.

반응은 정확했다.
 
결의안엔 꿈쩍도 않던 일본이 기림비와 홀로코스트로의 결합은 그들에겐 발톱의 가시로 작용했다. 한인들의 전략은 ‘야금야금 미국의 시민사회로..’였다. 그 전략이 한인사회에서 가능치가 않았다. 이 이슈가 무슨 내용이고 어떻게 결의안이 나왔고 일본이 어떻게 반응 하는가?엔 관심이 없고 주류 미디어의 뉴스 초점이 되는 그 매력 때문에 전국의 한인들이 중구난방 나섰다. 기림비를 서로 세우겠다고 주먹질이 오가는 싸움판이 생기기도 했다.

일본을 진정한 평화주의 국가로 나서도록 하려는 ‘마이크 혼다’의원의 수심은 깊어만 갔다.
 
뉴저지 펠팍의 기림비에 일본의 외교관이  찾아와서 기림비를 철거하라고 돈으로 매수를 하려다 들통이 나기도 했다.  일본의 우파 정치인들이 떼거지로 몰려와서 기림비 철거를 주장하기도 했다. 제정신이 아닌 일본인이 오밤중에 몰래와서 기림비에 말뚝을 박아놓고서 달아나기도 했다. LA글렌데일시의 소녀상을 철거하자고 백악관 웹사이트에서 논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지난해 6월, 장대 같은 소낙비가 쏟아지는 날. 마이크 혼다 의원이 펠팍의 기림비를 방문했다.
 
이래서는 안 되겠다고 기림비를 건립한 ‘시민참여센타’의 활동가들과 회의를 했다. 정부가 나서도록 해야 한다. 국무부가 일본에게 121결의안을 실천하도록 압박을 해야 한다. 그렇게하도록 무슨 아이디어를 내야 한다고 하면서 최선을 다해서 각 주정부에서 같은 내용의 결의안이 나오도록 풀뿌리단체들이 노력해 달라고 자문을 했다. 뉴욕과 뉴저지, 그리고 일리노이의 한인들이 노력해서 결의안을 냈다.
 
‘마이크 혼다’의원에게 자신감이 생겼다.
 
더우기 민주당 서열4위인 롱아일랜드 지역구의 ‘스티브 이스라엘‘의원이 가세를 했다. ’마이크 혼다‘의원이 세출위(Appropration Committee)소속이고 최초의 기림비가 세워진 펠팍이 지역구인 ’빌 패스쿠룰‘의원이 세입위(Ways and Means)소속이다. 그 소낙비가 쏟아져서 양복이 다 젖음에도 불구하고 펠팍 기림비 앞에 혼다와 패스크룰이 함께 참배했던, 기림비 앞에 두 의원이 함께 섰던 그 순간이 인연이 되어서 실행법안을 예산법에 넣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문제는 지도부를 설득해야 했다. 그런데 위안부 문제에 ’혼다‘의원 보다도 더 적극적인 롱아일랜드 지역구의 ’스티브 이스라엘‘의원이 도왔다.

그래서 2014회계년도 예산법안에 ’위안부문제‘를 넣었다.

지난 1월16일 하원전체회의에서 통과된 예산법안의 예산집행 지침서에 (국무부 해외업무 세출법안서) ' 2007년 7월30일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H.R.121)통과를 주목하고 국무장관으로 하여금 일본 정부가 이 결의에서 제기된 문제들을 해결토록 독려할 것을 촉구한다'를 명시했다. 이제는 미 행정부가 반드시 121결의안을 챙겨야하는 정식법안이 된 것이다.
 
지난주 ‘마이크 혼다’의원을 만났다. 

‘하나님께서 새해에 큰 선물을 주셨다’라고 하면서 법안이 다 된 것이나 다름 없다고 했다.  한인밀집지역 지역구의 ‘스티브 이스라엘’의원의 막강한 영향력 덕분이다. 그분에게 감사하자 라고 했다. 대통령이 서명할 때까지는 조용히 기다리라고 하면서 정식법안의 추진 과정과 내용을 ‘마이크 혼다’의원으로부터 소상하게 설명을 들었다.

21세기 초엽의 동북아정세가 매우 혼란하다.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 간의 패권다툼이 더욱 그렇다. 여전히 세계 최강국인 미국과의 관계가 너무나 요긴할 때다. 200만 미주한인들의 미국시민으로서의 역할이 막중하다. 이러한 때에 일본계3세 평화주의자 ‘마이크 혼다’의원은 그야말로 우리에게 보석같이 빛나는 존재다. ‘마이크 혼다’를 지지하고 지원하자.

미국 뉴욕 시민참여센타 상임이사 김동석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