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준표 경남도지사는 23일 오후 3시 경남도청에서 이형모 재외동포신문 대표와 만나 지난 대선에서 보여 준 재외국민선거의 낮은 투표율에 대해서 비교적 소상하게, 그리고 솔직하게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홍 지사는 대선 당시 재외국민투표율이 10% 정도만 됐더라도 재외동포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서 여야가 미주와 일본, 중국 등 재외동포 수가 많은 권역을 대표하는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두었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홍 지사는 나아가 “‘재외동포들에게 투표권을 줘서 무슨 의미가 있느냐’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면서 “다음 대선에서까지 낮은 투표율이 거듭 나온다면 그 이후엔 재외국민선거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는 우려까지 했다. 그는 ‘자승자박’이란 강하고 거친 표현까지 불사했다.
홍 지사는 미주지역 한인들을 중심으로 요구가 거센 우편투표제에 대해서는 ‘평등의 원칙에 반하는 위헌적 요소가 있다’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재외국민선거에서 우편투표제를 허용할 경우엔 비밀선거원칙에 위배되고, 국내 유권자들과 달라서 ‘평등의 원칙’에도 어긋난다는 것. 뿐만 아니라 홍 지사는 “대리투표를 방지할 제도가 없고, (대리투표를 해도) 입증할 방법이 없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나라의 경우엔 서명제도가 정착된 미국의 경우와도 다르다”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홍 지사는 “재외동포들에게 투표권이 있을 때 적극적으로 투표를 해야 거주국 주류사회에서도 대접을 받고, 국내에서도 대접을 받는다”며 거듭해서 재외동포들이 적극적인 투표 권리 행사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투표를 하지 않으면, 정치권이 돌아보지도 않는다”며 표심에만 관심을 갖는 정치권의 생리에 대해서도 한참을 설명하며 강조하는데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이어 '재외국민선거의 투표율에 따라 동포언론의 위상도 함께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따끔한 지적도 잊지 않았다.
지난 2011년 현 새누리당 전신인 한나라당 당대표 시절에 적극적으로 재외동포 문제에 관심을 가졌던 홍 지사의 이날 발언 곳곳에서는 예상보다 낮은 재외국민 투표율, 나아가 보수 성향 재외국민 유권자들의 소극적인 투표로 인해 민주당에 완패한 섭섭함도 묻어났다.
한편 홍 지사는 26일(현지시각) 미국 로스앤젤레스(LA) 한인 타운 내 서울국제공원에서 열리는 '제40회 LA한인축제' 개막식에 참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