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교육프로그램, 소외감 느껴선 안돼”
상태바
“다문화가정 교육프로그램, 소외감 느껴선 안돼”
  • 고영민 기자
  • 승인 2013.05.05 11: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3 재외한인학회 춘계학술회의’, 서울대 국제대학원서

윤경주 글로벌사이버대학 교수는 다문화가정의 조기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족 대상 교육을 계획할 경우, ‘부부’ 혹은 ‘고부’가 함께 참여하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부득이한 사정으로 혼자 참가한 자들이 소외감을 느낄 소지가 있다”며 이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병행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윤 교수는 (사)재외한인학회(회장 이진영)와 통일연구원이 지난 3일 오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회의실에서 주최한 ‘2013 재외한인학회 춘계학술회의’에서 ‘다문화가정을 위한 쌍방향 언어문화교육’이란 주제를 발표하며, 2011년 논산시와 태안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위탁받아 공주대 한민족교육문화원이 진행한 ‘쌍방향 언어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 윤경주 글로벌사이버대 교수가 ‘다문화가정을 위한 쌍방향 언어문화교육’이란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윤 교수에 따르면, 국제결혼한 지 오래 되지 않은 부부를 대상으로 배우자 상호간 ‘언어’와 ‘문화’ 이해능력 증진, 부부 및 가족 상호간의 ‘친밀감’ 증진을 목표로 관련 프로그램들을 시행하면서 제기된 과제로는 △한국어로 이뤄지는 교육일정에 대한 참가자들의 부담감 △동반 자녀를 위한 별개 프로그램 필요 △부부 동반 참여 장려의 현실적 어려움 △제한된 예산으로 인해 강사섭외 및 통역사 동반의 어려움 등이 있었다.

윤 교수는 향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으로 △홀로 참가한 자들을 위한 병행 프로그램 개발 △참가율 높이기 위한 홍보 및 교육효과에 대한 동기 부여 △동반자녀들을 위한 아기 돌보미 및 유아 프로그램 마련 △강의 시간 안배 및 강사와의 소통 유도하는 강의실 세팅 △인지적 접근보다는 감성적 접근 통한 마음열기(심리표현)에 초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시 위탁기관과 긴밀한 협조로 맞춤형 교육 필요 등을 제시했다.

중국인이면서 조선족, ‘중국조선족’ 이중정체성

이창호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는 ‘화교, 화인과 재외국민 및 외국적 동포 비교’란 주제발표를 통해 “화교, 화인의 개념과 의미는 중국사회가 조선족에 대해 거는 기대와 한국사회가 조선족에 대해 거는 기대에 따라 다르며, 서로 다른 공간들 속에서 여러 주체적 행위자들이 관계 맺는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한중수교 이후 한국인과의 만남으로 인해 그 이전까지 한족을 비롯한 중국 내 소수민족과의 관계 속에서만 자아정체성을 확인해오던 조선족 구성원들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원초적인 질문에 고심하게 됐다. 소수민족으로서의 엄연한 ‘변계성’, 한국과의 교류과정에서 실감한 ‘소외감’ 등 정치·역사적 조건들과의 관계 속에서 얻어진 답안으로 중국인이면서 조선족이라는 이중적인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중국조선족’이란 용어를 선호하게 됐다. 이는 곧 ‘국민정체성’과 ‘민족적 정체성’을 한꺼번에 표현할 수 있는 단어다.

이 교수는 “최근 조선족 젊은이들 사이에서 자신이 중국인이기 때문에 당연히 ‘화교’라고 생각한다는 답변을 들은 적이 많았다”며, “이는 조선족의 정체성 문제는 세대의 문제 및 국적의 인식과 밀접히 연관될 수 있다는 점을 말해준다”고 분석했다. 다양한 정치적, 문화적 장들 속에서 때로는 화교, 화인의 범주에 속할 수도 있고 속하지 않을 수도 있는 가변성을 가진 존재가 중국조선족이라는 것.

이 교수는 “재외한인사회에서 점차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조선족의 문화와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다양한 장들에 대한 맥락을 파악할 수 있는 밀도 있는 현지 조사 및 질적 연구가 한층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사단법인 재외한인학회(회장 이진영·인하대 교수)는 지난 3일 오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통일과 글로벌 시대, 민족과 국민 개념변화와 재외동포’란 주제로 ‘2013 재인한인학회 춘계학술회의’를 개최했다.

“재외국민보호, 재외국민 지원정책 틀 속에서”

이날 학술회의에서 송석원 경희대학교 교수는 ‘재외국민보호와 재외국민정책’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해외에서의 재난 유형들(소지품 도난·분실, 현지 사법당국에 의한 체포·구금, 자연재해, 테러·납치, 정치상황 급변)을 소개하며, “재외국민보호는 결과적으로 재외국민에 대한 지원정책의 틀 속에서 수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 교수는 “재외국민의 보호가 반드시 재난에 직면했을 때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며, “자녀들이 모국 교육과정과의 괴리에서 오는 혼란을 예방하기 위해 한글학교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학습 및 보습을 지원하는 것도 궁극적으로 재외국민보호의 일환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재중동포, 재일동포, 탈북자 등의 국내 입국에 따른 보호 지원 강화정책과 관련해, 일본이 중국잔류고아들의 입국지원정책으로 시행한 ‘재단법인 중국잔류고아원호기금’, ‘중국귀국자자립연수센터’, ‘중국귀국자지원·교류센터’ 등을 설치해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접근해가는 방식은 한국도 참고할 만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외에도 이날 학술회의에서는 ‘2012년 재외선거와 재일한인’(최영호·영산대), ‘구소려권 한인의 갈등적 정체성’(강희영·한양대), 칼미크 고려인 소고(이형근·모스크바 삼일문화원장) 등이 발표된 데 이어 ‘통일과 민족통합 그리고 재외동포’란 주제로 전체 토론이 진행됐다.

[고영민 기자]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