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정부 동포정책을 말하고 싶었어요"
상태바
“이승만 정부 동포정책을 말하고 싶었어요"
  • 이석호 기자
  • 승인 2010.03.30 14: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김봉섭 전 재외동포재단 전문위원
“참정권 문제는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닙니다. 동포정책은 오래전부터 진보하기도 다소 후퇴하기도 하며 꿈틀됐지요.”

<이승만 정부 시기의 재외동포정책>. 이는 김봉섭 전 재외동포재단 전문위원이 최근 내놓은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문학) 논문의 제목이다. 그는 어느 학자도 한 번도 문제제기하지 않은 새로운 영역의 글을 발표하며 화제를 몰고 오고 있다.

“그동안 이승만 정부의 동포정책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비판적이었어요. 아무것도 한일이 없다고 보는 학자들도 많지요. 하지만 공과를 따지기 전에 이 정부 때도 많은 동포정책을 내놓았고 우리한테도 깊고 오랜 동포관이 역사적으로 명백히 살아 있음을 말하고 싶어요.”

지난달 29일 인터뷰를 하는 자리에서 그는 이 문제가 정치적 문제로 오해받기 쉬워, 논문의 주제로 잡기에 조금은 망설였다고 했다. 하지만 그는 정치인 이승만이 아니라 재외동포분야를 국정의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삼았던 초기 이승만이었기에 수년간의 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1948년 세 가지 재외동포정책을 시정연설(이범석 총리 대독)에서 발표했습니다. 모든 재일동포와 재만동포를 귀환시키겠다. 재외동포들을 교육 지원하겠다. 국내에 올 수 없는 모든 동포를 보호하겠다는 내용이었지요.”

김 전 위원은 “임시정부 시절에는 재외동포들에게 4분의 1에 달하는 대표성을 줬다고 말할 수 있다”면서 당시 이 정부가 결코 다른 나라에 비해 뒤쳐지지 않은 동포정책을 계승하고 있었음을 설명한다.

“1950년대 초 이승만 정부 때 민단 단장을 비롯해서 재일동포사회의 주요임원들을 국회 '옵저버’로 두기도 했습니다. 비록 의결권은 없지만 참정권의 효시로 볼 수 있지요.”

하지만 이러한 이승만 대통령의 재외동포를 포용하려는 의지는 6.25 전쟁으로 꺾이게 된다고. 전쟁 이후 전후복구에 국력이 집중되고 체제경쟁에 매달리게 됐다. 그리고 재일동포북송사건이 벌어진다.

“재일동포들이 북한을 선택했다는 것은 한마디로 동포정책의 참패라고 볼 수 있지요. 그러나 이 일을 계기로 외교부는 새로운 재외동포정책의 밑그림을 내놓게 됩니다. 정비되지 않았던 동포정책이 조금씩 체계를 갖추게 되었지요.”

김봉섭 전 위원은 역설적이지만 북송사건을 계기로 국정과제 중 8~9번째 있었던 동포정책이 3~4순위로 뛰어올라왔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3.1운동기념사업회 회장으로 취임한 김 전 위원은 이와 같이 논문을 발표하면서 임시정부와 연속성 상에 있는 이승만 정부의 동포정책을 해부했다. 그는 국회 속기록, 국무회의록, 외교문서, 국회 의사록을 속속들이 찾았고, 비록 논문에 담지는 못해지만 연구는 장면, 박정희 대통령으로 이어지게 됐다.

“우리는 재외동포를 우리자산이라고 외치기만 하지요. 그러나 동포정책은 마음을 잡는 정책이어야 합니다. 꼭 득실을 따질 정책이 아니지요. 단재 신채호는 국민동포라고, 임시정부는 동포국민이라는 표현을 쓴 것도 마음을 먼저 헤아리기 위함이지요.”

이렇게 말하면서 김 전문위원은 고종황제의 동포애를 담은 하나의 일화를 전한다.

“1906년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지금의 칠레처럼 대지진과 대규모 시위가 일어난 적이 있어요. 이때 고종황제는 머나먼 이국땅에 동포들이 얼마나 깊은 상처를 받았을까 걱정했고, 전문과 구휼금을 보냈어요. 그저 우리 동포가 하나이기에 도와야한다는 동포애를 보여준 모습이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