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청소년문제... ‘교육’이 해답이다
상태바
다문화가정 청소년문제... ‘교육’이 해답이다
  • 오재범 기자
  • 승인 2008.06.26 14: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폭넓은 다문화주의, 통합주의로 이주가정 청소년 보듬자"

'한국 이주가정 청소년정책 수립을 위한 국제심포지엄'이 지난 25일 개최됐다.

이화여대 LG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독일, 호주, 대만, 노르웨의 등 4개국 정책담당자와 국내 전문가들을 초청해 국가별 이주가정 청소년 현황, 문제점, 정책성공 사례를 점검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과 토론을 통해 효과적인 한국의 이주가정 청소년 정책 및 프로그램을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호주 이민청 국제 인도적 정착지원부 차관보로 근무하는 케이트 월러스(Kate Wallace)를 비롯해 노르웨이 아그네스 쉐르쇼브 통합․다양성국 고문, 주한독일대사관 클라우디아 쉬미츠 공관 차석, 대만이민청 리링펑 국제과 부국장 등 4개국에서 관련자들이 다수 참석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케이트 월러스 호주이민청 차관보는 호주의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중 호주 문화적응 프로그램(AUSCO)을 소개했다. 이 프로그램은 호주 도착 이전 시작하는 지원 프로그램으로 호주 도착을 위한 여정 및 호주에 도착 후 이들에게 필요한 사항에 대한 정보제공을 한다.

그는 “무엇보다 호주정책의 강점으로 '정착 보조금 지급 프로그램(SGP)'이 있다”며 "이 프로그램은 호주 도착 후 최고 5년간 실시되는 정착 지원으로 언어집중센터 교육, 운전교육, 종업원 멘토링, 숙제 클럽, 청소년 스포츠 활동 등으로 구성된 실질적 지원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호주정부는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연중무휴의 ‘TIS National(통번역 서비스)’을 제공하고 있다.

아그네스 쉐르쇼브 노르웨이 통합․다양성국 고문은 “이주민 자녀의 상급학교 진학률, 읽기 능력 다소 낮기 때문에 특별히 아동청소년 지원 프로그램이 구성돼 있다”고 발표했다. 그는 현재 “노르웨이에서는‘모든 학생은 적성과 능력을 감안한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캐치프레이즈를 걸고 전문 클리닉에서 4세 아동들의 언어 구사력을 평가하도록 예산이 편성돼 있으며, 유치원에서 하루 4시간 무료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도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노르웨이는 현지 고등학교 학생 중 다문화 청소년의 비율이 20%를 초과하는 경우, 학교에서 이들을 도울 업무를 맡을 30명의 다문화 상담자들을 임명하는 정책을 사용해 다문화 청소년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클라우디아 쉬미츠 주한독일대사관 공관 차석은 “독일의 경우 다른 가와 달리 이주자에 관해 2가지 프로그램이 있는데, 하나는 구소련과 동유럽에 흩어져 있다가 귀환한 독일동포와 동독출신 독일인에 관한 프로그램이다”고 말했다.

그는 "구 동독출신 독일인의 경우에는 빠르게 통일독일의 교육을 따라와 일시적인 교육참여 정책을 사용하는 것으로도 효과를 얻었지만, 다른 곳에 있던 독일인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당시 흡수통일을 한 독일의 경우, 1987년부터 1999년까지 구 소련에서 독일로 귀환한 독일동포 귀환자로 대상이 약 270만 명이며, 2차 세계대전 이후 구소련 및 동유럽에 흩어져 있었으나 통일 이후 독일로 귀국했다.

쉬미츠 차석은 “결국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는 돌아온 독일인들을 위한‘통합 상담자(integration counselors)’를 배치했으며, 주정부는 더 많은 이주독일인들을 유치원 및 학교 교사로 채용했다”며 “독일연방정부역시 ‘제 2의 기회’와 ‘교육의 대부’라는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만들어 이주 청소년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리링펑 대만이민청 국제과 부국장대만은 “대만의 경우, 지난 2003년 외국인과 결혼이 급격히 늘어나 전체 결혼율의 31.9%에 달하자 정부 차원에서 결혼이민자를 위한 지원 정책으로 생활적응 상담, 의료보건, 취업권익 보장, 교육협조, 자녀양육 협조, 신변안전 보호, 법 제도의 정착 등을 실시했다”고 말했다.

리링평 부국장은 또 “대만정부는 교육부와 시 정부 협조로 경찰서 내「학업 중도 포기 학생 찾기 시스템」을 구성해, 학령기 미취학 아동들을 찾아 학교복귀토록 해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꼭 교육을 받도록 했다”며 다문화 자녀의 교육을 강조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최근 사회 각 분야의 관심과 정책적 배려가 증가되고 있으나‘이주자’혹은 ‘이주의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모두 아우르는 정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언어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으며,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각국정부와 네트워킹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공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청해 눈길을 끌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