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시대의 바람직한 사회통합 방향
상태바
다문화시대의 바람직한 사회통합 방향
  • 신상록
  • 승인 2007.08.30 13: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신상록(다문화가정지원센터 소장, 본지 편집위원)
일반적으로 전체인구의 30%가 다문화인들로 구성되었을 때를 다문화 사회 또는 다문화국가라고 부른다. 한국은 2007년 6월 기준으로 100만 명이 넘어섰다. 여기에는 불법체류자가 포함되지 않았지만 다문화사회라고 부르기에는 아직 시기상조이다.

그러나 사회적 분위기는 이미 다문화사회이다. 정부나 지자체, 사회단체 등은 새로운 다문화사회를 맞이하기에 분주하다. 경제나 교육, 정치분야를 제외하면 다문화라는 말이 단연 대화의 화두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 만큼 이 사회는 다문화에 대한 관심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관심이 크다는 점은 바람직하지만, 과연 방향은 제대로 잡은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정부 차원에서도 법무부에 사회통합부를 신설해 정책을 마련하고 노력하고 있다. 이에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통합의 방향과 정신에 대한 소견을 말씀드리고자 한다.

첫째, 쌍방이 참여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쌍방이란 재한외국인과 그들을 지원하는 정부, 지자체, 사회단체를 말한다. 그런데 문제는 너무 일방적이고 체계 없이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글교육만 해도 지자체내 여러 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수요자 입장에서 보면 여러 곳에서 언제든지 배울 수 있어서 좋을 것 같지만, 교육의 효과 면에서 결코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우려 되는 점은 큰 차이 없이 여러 곳에서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예산낭비도 크지만 지속성의 문제, 일방적 쏟아 붓기에 대한 비판도 직면하게 될 것이다.

강사 수준도 문제이다. 실제로 중국에서 온 한족 자매는 한글 배우기를 그만두었다고 한다. 좀 더 깊이 배우고 싶은데, 여러 기관에 다녀보았지만 기초단계만 반복하였다고 한다.

둘째 유치원에서부터 다문화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미 교육부에서는 교과서에 다문화에 관련한 내용을 포함하여 그들과 더불어 사는 세상을 교육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 우리 센터에서는 교육부의 이런 정책을 돕기 위해 나름대로의 교육교재를 개발하고, 전문화된 다문화강사를 파견하여 지원할 계획이다.

그런데 가장 좋은 방법은 학생들로 하여금 참여하게 하는 것이다. 한국학생들을 위한 여러 나라 언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는 것이다. 학교의 협조로 학생들이 센터에 온다면 가능한 일이다.

셋째 그들만의 놀이공간이 필요하다.

버스나 지하철을 타면 사람들은 아무도 없는 자기만의 빈 공간을 찾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아는 사람과 동행할 때는 함께하려고 한다. 외국에서 온 다문화인 들도 같은 동포를 만나면 반갑고 함께하려고 한다. 여성문화회관에서 국제결혼여성들에게 한글강좌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반가운 마음에 달려갔다가 베트남에서 시집온 젊은 여성을 만났는데 자기나라에서 온 사람들의 모임이 있으면 좋겠다는 말을 들었다.

센터에서도 이런 모임의 필요성을 공감해 요일을 정하여 국가별 모임을 주선하려 준비하고 있다. 지자체의 협조를 얻어 각 지역의 주민센터(동사무소)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는 생각이다.

넷째, 둘로스정신이 있어야 한다.

둘로스는 희랍어로 종을 의미한다. 종은 주인의 재산이며 주인과의 관계에서만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다. 종은 하루 종일 일하고 집에 와서도 쉬지 못한다. 그러면서도 마땅히 할 일을 했을 뿐이라고 대답한다.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은 '종의 정신'이 필수적이다.

세계 각국을 다니며 복음을 전하는 둘로스라는 배가 있다. 그 배안에서 세계52개국에서 온 350여명이 공동생활하며 지낸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둘로스 정신이 그들 속에 살아있기 때문이다. 다문화 관련 사업들이 후죽순처럼 늘어나는 것을 본다. 반가우면서도 한편으로는 솔직히 걱정이 앞선다. 다문화사역은 그들의 영혼을 내 몸처럼 사랑하는 마음과 '종의 정신'이 없이는 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주요기사
이슈포토